<동대신문=신종서 기자> “현재 우리학교는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하기에 부족한 공간으로 인해, 이공계교수들의 경우 특히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가차원의 프로젝트나 외부업체 등의 프로젝트 등을 수주하는 데도 불편함이 따른다.” A교수의 볼멘소리다.
최근 우리대학 교수들의 연구 실적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인력교류, 정보교환, 공동과제 수주 등을 통해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바람도 불고 있다. 그러나 이와 함께 연구공간 부족문제에 대한 불만 역시 차츰 늘고 있는 추세다.

이에 R&D산업팀의 한 관계자는 “정해진 공간 내에서 연구공간을 배분할 수밖에 없다”며 “앞으로 산학협력관 신축, 혜화관 리모델링 공사를 통해 학내공간을 더욱 확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교원 수는 늘어나는 데 비해, 학내부지는 늘지 않아 공간 배정에 애를 먹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러나 언제 완공될지 모르는 산학협력관 등을 기다리는 것은 연구활동에 제약을 받고있는 교수들로서는 답답한 노릇이 아닐 수 없다. ‘한정된 연구공간 내에서 남의 공간을 빼앗지 않으면 내 공간은 없다’는 교수 간 공간쟁탈전마저 우려되고 있다.

현재 각 연구실과 실험실 배분에 대한 특별한 규정은 없는 상태. 일반 연구실의 경우 10평내외 한도로 배분이 규제된 상태고, 그 외 실험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에 대해 학교 측의 한 관계자는 “각 학과 내에서 자율적으로 배분하고 있고, 캠퍼스내 공간이 충분하던 시절 배정받은 일부교수들의 연구공간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문제”라며 “구성원들의 협의와 양보가 앞으로 연구공간 문제를 푸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허나 ‘십시일반’으로 양보의 미덕을 발휘하는 것만이 과연 공간문제를 풀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까.
학내 연구공간 부족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절대공간의 확충이 절실하지만, 실상 증축은 남산의 고도제한에 의해 규제받고 땅을 넓히자니 비싼 토지가격 때문에 적극적인 매입이 어려운 상태다. 그렇다면 이용도와 활용도에 따른 공간의 전면적인 재배치와 그를 명확하게 재분배할 수 있는 객관적인 평가기준의 확립이 차선책이다.
앞으로 학교 당국의 합리적인 원칙과 평가지표가 시급히 현실화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