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득분위가 제대로 측정되지 못한다는 불만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소득분위는 대학 내 여러 기관에서 학생들을 선발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대학에서는 소득분위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
시급이 높아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은 국가근로장학에 대해서 한국장학재단은 0분위에서 4분위의 학생들을 1순위로 채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교내근로장학은 경제여건에 상관없이 성적이 2.0만 넘는다면 모든 학생들이 지원할 수 있다. 다만 학교 측은 “업무에 적합한 학생을 우선으로 뽑지만 같은 조건이라면 경제여건이 더 어려운 학생을 뽑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경제여건 평가는 우리대학 각 기관의 재량에 따르고 있다.
작년 우리대학 중앙도서관 교내근로장학의 경우, 학생 가정의 한 달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경제여건을 파악했다. 그러나 명확한 기준이라고 볼 수 없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실제로 작년 중앙도서관 근로에 지원한 한 학생은 “건강보험료를 거짓말로 적는 학생들이 있지는 않을까 하는 마음에 신뢰하기 힘들었다”며 “또한 등급이 아니라 금액으로 학생을 선발하다 보니 차이가 얼마 나지 않는데도 뽑히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 기준이 아쉬웠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현재 중앙도서관 측에서도 학생들의 경제여건을 파악하기가 어려워 근로학생을 뽑을 때 소득분위를 고려할지, 혹은 다른 기준을 사용할지에 대해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교내근로장학은 학교의 일을 도와줄 수 있는 학생을 뽑기 위한 제도다. 그러나 장학제도인만큼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해야 하는 저소득층의 학생을 더욱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생을 선발할 때는 가계형편도 평가해야 하는데 우리대학에는 그를 위한 정확한 기준이 정해져있지 않다. 우리대학에서도 저소득층을 더욱 배려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지 않을까

 최근 고려대학교에서 성적장학금을 폐지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다. 고려대학교는 장학금 유형이 특이하게 ‘자유’, ‘정의’, ‘진리’라는 키워드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중 ‘정의’장학금이 경제적 상황을 고려해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는 유형이다. 장학금은 주로 소득분위 0분위에서 8분위의 학생들에게 지급되며, 0분위에서 2분위의 극빈층 학생들은 등록금 전액을 지원받는다.
 고려대학교의 경제 상황만을 반영한 장학제도는 학생들이 성적장학금을 받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는 것을 완화시켜줄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국가조차도 소득분위를 제대로 산정하지 못하는 것 같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가정형편만으로 장학금을 주는 고려대학교의 장학제도에는 문제가 없을까?
고려대학교 측은 “소득분위가 미처 반영되지 못하거나 그에 비해 소득이 적을 경우, 학생의 장학금 추가신청을 통해 소득분위가 높아도 가계곤란 장학금을 받을 수 있다. 단, 가계곤란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하고 이를 평가하여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고려대학교에 재학 중인 한 학생은 “경제적 상황만을 고려해 장학금을 지급하는 일은 외국 대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외국 대학의 경우에는 극빈층뿐만 아니라 중간층의 학생들도 학교를 다니는 데에 불편이 없게끔 지원해준다”며 “고려대학교의 장학제도는 소득이 애매한 9분위의 중간층 학생들은 경제적 지원을 받기 힘든 실정이다”며 아쉬운 점을 드러냈다.
 성적이 아닌 가계소득을 기준으로 장학금을 지급하는 방식에 대학사회도, 학생들도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그 이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은 가계소득을 결정하는 ‘소득분위’가 잘 파악되고 있는 가이다. 지금 우리는 고려대학교의 새로운 장학제도가 아니라 소득분위가 제대로 산정되고 있는 지에 관심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