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원 여론조사조차 소극적 … 학생들은 모른다는 답변 많아

학내 갈등이 첨예화 되면서 구성원들의 의견이 갈리고 있다. 이와 함께 구성원들이 설문조사에 응하는 태도 역시 나뉘었다.

본지는 이번 학내사태를 두고 다양한 학내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듣고자 학생, 직원, 교수를 상대로 설문조사를 시행하려 했다. 이에 따라 전체 구성원 비율에 맞게 교수·직원·학생을 임의 추출하고 일대일 대면 설문을 실시했다. 그러나 교수 10명, 직원 3명만이 조사에 응해 표본을 추출하기 어려웠다.

한 교수는 이번 설문조사를 두고 “단과대 내에서도 의견이 분분해서 언급하기가 쉽지 않다”며 거부사유를 밝혔다. 이는 교수 사회가 입장이 양분 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실제로 일부 교수들은 특정 총장 후보 또는 이사를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거나 지지단체의 요직에서 활동하고 있다. 또 다른 교수는 “학생들이 진행하는 설문조사는 믿을 수 없다”고 거부했다. 반면 아무 이유 없이 거부한 교수들도 있었다. 특히 교수들이 밝힌 거절 사유 중 “총장관련 일에 개입하고 싶지 않다”가 가장 많았다. 직원들의 입장은 또 이와 달랐다. 한 직원은 “소속팀의 업무와 관련된 일이라서 말하기가 어렵다”고 답했다. 다른 직원도 “타 팀원들에게 폐가 될 것 같다”며 거부했다.

또 처음엔 응하는 듯 했으나 옆에 직원이 거부하는 것을 보고 답하기를 꺼려한 직원들도 있었다. 그런가하면 총장관련 설문조사라는 말을 듣자마자 거부한 직원들도 있었다. 또 설문방식에 있어 “전원 조사가 아닌 임의 추출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거부하기도 했다. 일대일 대면조사로 진행되다 보니 익명이 전제된다고 해도 이미 얼굴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다. 이처럼 직원들은 교원보다 더욱 설문조사에 민감한 반응이었다. 현실적으로 열린 공간에서 집무를 해야 하는 환경이 설문을 어렵게 만든 요인의 하나로 보인다.

이와 대조적으로 학생들의 경우, 학내 갈등 상황에 대해서 잘 이해하지 못했다. 일대일 대면설문의 특성상 대상자에게 설문 내용을 설명해야 하는데, 다수의 학생들이 “처음 듣는 얘기”라는 반응을 보였다.

이 반응은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드러난다. 전체 응답자 중 종단의 외압과 관련된 문항에서는 14.9%가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으며 논문 표절 의혹에 관해서는 해당 사실을 ‘모른다’고 답한 비율이 22%에 달했다.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의 논문 표절 판정 공정성에 대해서는 35.2%가, 조계종의 학교 발전 기여도에 대해서는 37.9%가, 학생 대표들의 이사장실 점거농성에 대해서는 12%가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