譯經院(역경원) 發行(발행)

  대승불교의 2대 학파는 유가학파와 중관학파로 나눌 수 있다. 중관학파는 龍樹(용수)로 비롯하여 체계지워진 중관사상이다.
  용수는 AD150~250년에 생존한 인물로서 대승불교의 한 완성자이다. 그는 中論(중론)을 저술하여 8부의 중도를 시현하기 위한 論理(논리)와 破邪(파사)하여 顯正(현정)의 理想界世(이상계세)를 명백히 시사한 것이다.
  이 8부에 의하면 般若民(반약민)을 근간으로 한 大乘空觀(대승공관)의 입장에서 원시불교 以來(이래) 緣起說(연기설)에 독자적이고 새로운 해석을 加(가)하여 이에 의하여 名章(명장)에 展開(전개)되는 思想的(사상적) 구조는 部派佛敎(부파불교)뿐 아니라 印度哲學思想(인도철학사상)전반에 對(대)하여 원리적인 面(면)으로 남김없이 비판하여 中觀論的(중관론적)인 입장의 眞理(진리)개현을 시도하였다. 모든 것은 緣起(연기)ㆍ無自性(무자성)ㆍ空(공)으로 귀결케 하여 제일의제나 世俗諦(세속체)들에다 골격으로 하여 예리한 論法(논법)을 구사하여 연기는 自性(자성)이 없는 것이다. 自性(자성)이 없는 緣起(연기)는 곧 空(공)이다.
  비유하여 甁(병)과 같은 것이다. 甁(병)은 因緣和合(인연화합)으로 된 것이며 소리와 같다. 이를 뒷받침하는 제24장 一八(일팔)게에서 ‘연기하는 것의 모든 것은 空性(공성)이라고 한다. 그 空性(공성)은 相對的(상대적)인 가설이며 그것은 확실한 中道(중도)인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 中論(중론)의 불교 사상에 남긴 업적은 空假中(공가중)의 논리이며 이것은 緣起(연기)ㆍ無自性空(무자성공)의 변증법적인 논리의 구현과 동시에 통일의 논리를 구명한 것이다.

  또한 백론과 12문론을 합하여 3론이라고 하는데 이번 동국역경원에서 간행하여 중관사상 이래의 큰 길을 터놓았다. 이 3론의 논리가 공관불교의 기본서인데 아직 한역으로 전해오고 전문가가 아닌 사람은 그 논리의 전개를 이해하기 어려운 것을 주석과 더불어 초심자라 할지라도 대승불교 이해의 지름길을 펴놓았다.
  이 이외도 慶百論(경백론)ㆍ大乘慶百論釈論(대승경백론석론)ㆍ大丈夫論(대장부론)ㆍ百字論 老輸處迦論(노수처가론)ㆍ大乘破有論(대승파유론) 六十頌如理論(육십송여이론)ㆍ大乘二十頌論(대승이십송론) 등도 함께 상재되었으므로 중관불교를 접근하는 초입자에게는 原典(원전)과 회후가 안성맞춤임에 틀림없다.
  또한 한문으로 된 이 논서를 영인하여 참고에 대하도록 하였으니 역경원의 배려가 크게 돋보인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