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문화연구원 · 문화학술원 각각 간화선, 도시공간 주제로 세미나 개최

우리대학 불교문화연구원과 문화학술원은 지난 28일 각각 학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불교문화연구원이 주관(主管)한 봉축세미나는 ‘간화선, 철학을 만나다’란 주제로 덕암세미나실에서 열렸다. 이번 학술 세미나에는 우리대학 현각스님이 기조발제를 했으며, 이정우 동교동 철학 아카데미 원장 등 5명의 박사가 참여했다.

기조발제에서 현각 스님은 ‘간화선의 전통과 그 현대적 수용’이란 주제로 발제했다.  현각 스님은 “우리나라 간화선은 고려시대 보조지눌이 대혜의 선법을 수용한 이래부터 전승되어 한국 간화선의 체계성이 형성된 이래로 간화선은 줄곧 한국선의 특징으로 부각되고 있다”며 간화선의 연원(淵源)에 대해 말하기도 했다.

<간화선,철학을 만나다> 세미나

첫 번째 발제를 맡은 이정우 원장은 ‘시간과 실재 - 청송 고형곤의 존재론’이란 주제로 강연했다. 이정우 원장은 “실재를 시간 너머의 무엇으로 볼 경우, 시간에 의해 지배되는 현실세계는 환(幻)으로서 이해된다”며 “반면 시간을 실재로서 볼 때, 시간을 넘어서 나타나는 동일성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가 문제”라고 말했다.

두 번째로 ‘선과 기호’란 주제를 발제한 신진영 교수는 “선이란 고통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고통의 의미를 깨닫는 것”이라며 “그 의미 가운데에 서 있는 나를 마치 남처럼 바라볼 수 있으며, 가장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세 번째 발제를 맡은 이진경 교수는 “선(禪), 존재론적 평면화와 평등의 정치학”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이 교수는 평면화의 개념에 대해 “모든 것을 하나의 동일한 평면 위에서 하나로 다룰 수 있게 해주는 것이 평면화”라며 “이러한 평면화는 각각이 갖는 모든 특정한 규정성을 추상함으로써 이뤄진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평면화란 현행적인 모든 조건과 규정에서 탈영토화하여 절대적 미규정성을 향해 ‘잠재화’하는 것”이라고 추가 설명했다. 한편, 이 교수는 “선은 단지 규정가능성을 갖는 미규정성의 잠재성에 머물지 않는다”며 “공적한 곳에 머무는 것, 그것은 그곳이 부처의 자리라고 해도 용납되지 못할것”이라고 선의 평면화에 대해 언급했다. 이어 이 교수는 “충실한 행(行)을 할 수 있을 때, 현행성의 실천은, 평등의 정치학은 진정 자유로워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며 발표를 마쳤다.

네 번째로 발제를 맡은 박인성 원장은 ‘위빠사나 수행과 간화선의 공명’이란 주제에 대해 발표했다. 박 원장은 두 가지 수행에 대해 “간화선 수행과 위빠사나 수행은 수행의 방식과 과정이 다르지만 이를 통해 얻는 열반의 성격은 동일하다”며 “다만 두 가지 수행의 차이가 있다면 열반을 보고 얻는 지점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두 가지 수행은 수행의 방식이나 과정에 있어 차이가 있지만 두 수행 모두 극대화된 사마타의 과정을 통과한다는 점에서 같다고 볼 수 있다”고 말하며 발표를 마쳤다.
 

마지막 발제를 맡은 변희욱 연구원은 ‘알지 못함, 간화(看話)의 지렛대 : 간화선에서 앎과 알지 못함의 의미’란 주제로 강연했다. 변희욱 연구원은 간화라는 지렛대에 알지 못함의 함의에 대해 “알지 못함은 간화의 시작”이라며 “알지 못하기에 알고자 함(의심)이 시작되며, 알고자 함이 시작될 때 간화가 시작 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알지 못함은 간화라는 지렛대의 받침점”이라며 “그것은 기존의 앎과 알고자 함으로 연결된 간화의 지렛대가 작동하게 하는 회전축”이라고 말했다.

<문화지리와 도시공간 표상> 세미나

한편, 이날 우리대학 문화학술원 및 한국문학연구소가 주최한 문화학술원 정기 학술대회가 ‘문화지리와 도시공간의 표상’이란 주제로 다향관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우리대학 이혜은(지리교육), 김춘식(국어국문), 김애주(영어영문) 교수 등 7명이 참석해 발표를 맡았다.

기조 발제를 맡은 이혜은 교수는 ‘문화지리적 관점에서 본 도시’에 관해 “인간이 살고 있는 지구는 하나의 공간이라 인식할 수 있다”며 “하지만 어떤 특성을 지닌 공간에 거주하는가에 따라 거주환경은 다르며 그 특정지역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사회경제적 활동은 모두 다르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또한 “문화ㆍ지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도시란 인간이 거주하는 일상공간이며 거주문화지역”이라며 “도시가 지닌 자연ㆍ인문ㆍ사회적 현상이 가미되어 도시의 지역성이 특정 지어지며 이는 끊임없이 변천한다”고 말했다.

1부 제 1 발표를 맡은 신승모 강사는 ‘식민지시기 경성에서의 ‘취미’-재(在)경성 일본인의 이념화 변용과정을 중심으로’란 주제로 발표했다. 신 강사는 이에 대해 “식민 지식사회가 서울이라는 ‘장소’를 재편하고 자기화하는 과정을 동시대의 ‘취미’ 담론을 통해 검토하고자 했다”며 “‘취미’라고 하는 개념은 식민지시기 하나의 통일된 개념으로 수렴되지 않고 복합적인 의미층을 보이며 혼용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오락’이란 용어로도 대체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제 2 발표에서 김춘식 교수는 ‘식민지 도시 경성과 모던 서울의 표상 - 유리, 강철, 대리석, 지폐, 잉크가 끓는 도시’란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도시와 군중의 상관성을 ‘산책자의 시선’에서 발견한 보들레르 이후, 근대성은 도시라는 새로운 장소와 공간이 부여한 ‘감수성의의 한 형식’으로 종종 표상되곤 했다”며 “장소와 공간에 대한 인식, 감각의 변화가 근대성을 나타내는 표상체계를 형성함으로써 모더니티는 단순한 제도, 시스템만이 아니라 우리의 인식과 감각에 연관된 ‘장소와 지형’의 문제로 확장됐다”고 말했다.

2부 제 1 발표서 염복규 연구원은 ‘일제하 경성 도시 개발의 양상과 ‘식민지근대’란 주제로 발표했다. 이에 대해 그는 “일제하 경성도시계획의 본질은 ‘일본이 도입한 근대의 이식’이었으며, 일제는 식민통치의 시작에서 끝까지 스스로의 독자적인 내용을 가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제 2 발표에서는 김애주 교수가 ‘도시주의와 아시아계 미국인의 정체성’이란 주제로 강연했다.
김 교수는 “시애틀은 미국을 새로운 ‘집’으로 결정하고 동화와 생존을 위해 사투를 벌여온 일본계 미국인들의 역사의 집적체”라고 말했다. 또한 “시애틀에 대한 일본인의 태도에서 일본인의 영토화에 대한 욕망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