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에 열린 '총여학생회 존폐와 방향성' 토론회 현장이다.

지난 14일 총대의원회(이하 총대) 주관으로 ‘총여학생회(이하 총여) 존폐와 방향성’을 논의하기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한편 총여는 결국 토론회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토론회 주최 기구 선정과정에서 총대와 견해차가 있었기 때문이다. 


토론회에는 30여 명의 재학생이 참여했다. 참관자들의 화두는 ‘총여 선거권에 대한 논의’였다. 총여 선거권은 여학생에게만 있음을 문제로 제기한 한 학생은 “과세, 즉 학생회비 납부는 모든 학생에 의해 이뤄지지만, 선거권에는 제한이 있으므로 총여 회칙은 비민주적”이라고 말했다. 이와 반대되는 의견을 가진 학생들은 학내 성차별이 존재함을 언급하며 “여학생의 권리증진은 성차별 구조 타파에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억압 등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비민주성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총여의 소통 부족과 신뢰도 하락에 대한 문제도 불거졌다. 작년 과도한 회식비 사용 논란과 최근 저조한 성과에 대해 비판받았음에도 소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비슷한 문제가 있었던 총학생회(이하 총학)는 놔두고 왜 총여에게만 존폐를 묻는지 모르겠다”며 문제의 원인을 재탐색해야 한다는 입장도 있었다. 이어 “대통령이 소통을 안 하면 탄핵을 논하지, 대통령제 존폐를 논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학생은 “총여 존폐를 앞세우니 소통의 가능성이 생겨난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총여의 소수자 보호 한계’에 대해서도 논의됐다. 한 학생은 “선거권이 여학생으로 제한된 지금, 총여는 게이 등 성소수자 남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어렵다”며 여성 차별과 성소수자 차별을 동시해 고려해야한다 보충했다. 이에 현 회칙을 지지하는 학생들은 “남성 중심적 사회구조에 대항하기 위해 여학생만 선거권을 가진 총여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남성 중심적 사회구조 안에서 차별받는 사람들이 소수자들과 함께 연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차별의 원인을 정치적 의제로 상정하기 위해 총여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였다.


‘총여 회계 구조 변화’ 제안도 있었다. 총여는 자치기구 중 상대적으로 적은 예산을 분배받고 있다. 제안자는 “총학의 예산을 받아 지금보다 많은 예산을 사용하면 역할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근거로 주장을 뒷받침했다. 이를 반대하는 학생은 “그럴 경우 여성과 남성이 평등하다고 생각하는 총학생회장이 선출되면 의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며 예산보다 독립성 보장의 필요성을 부각했다. 같은 의견을 가진 학생은 “총여가 있었기 때문에 다른 단과대들이 두리버너, 몰래카메라 탐지와 같은 사업을 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총여를 통해 학내 사업들에 개선이 이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총여 폐지를 요구하는 오프라인 서명 제출자는 14일을 기점으로 500명을 넘었다. 총여 폐지를 결정할 학생총투표는 각 단위 투표소에서 중앙선거 일정(19~21일)과 동시 진행할 예정이다.


총학생회 회칙에 의해 재학생 500인 이상의 요구가 있으면 중앙위원회는 요구안을 심의한다. 5일, 총대는 500여 명의 온라인 서명이 담긴 학생총투표 요구안을 중앙위원회에 전달했다. 요구안을 심의한 중앙위원회는 “온라인 서명은 조작이 쉬워 정당성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발표했다. 이후 총대는 서명 정보 공개 동의가 담긴 오프라인 서명을 받았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