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일호 경제학과 교수

우리는 현재 무한경쟁 시대에 살고 있다. 대학도 예외는 아니다. 10위권 안팎의 대학이 촘촘히 모여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자칫 방심하다 보면 곧바로 대학 서열순위가 바뀌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물론 현재의 대학 서열화가 바람직하지만 않지만, 대학의 평판도와 취업률 그리고 우수 학생을 선발하는 기준으로 작용하는 이상 무시할 수도 없는 잣대이기도 하다.

대학시절을 돌이켜 보면, 졸업장만 받아도 추천서를 받아 무난하게 금융권에 취업이 가능하였고, 교수들도 별다른 연구 실적 없이 승진하고 부담 없이 휴강을 하던 시절이 있었다. 오히려 그 시절 느슨했던 일상들이 대학가의 낭만으로 치부되기도 하였다. 그 시절과 비교한다면, 작금의 대학 상황은 교수와 학생들도 순위경쟁을 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로 인하여 모든 대학이 구조조정과 대학의 재정 감소 등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이렇듯 주변 환경이 변하고 있는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경쟁에서 낙오자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올 초부터 휘몰아쳤던 미투운동이나 땅콩회항 등 갑질의 원인도 변한 세상을 인지하지 못한 기득권층의 안일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한다. 아직도 구시대적 발상으로 판단하고 행동한다면 구성원 간 화합은커녕 갈등만 야기 시킬 뿐이다. 과거 기득권이 누렸던 화려한 시절의 향수에서 벗어나지 못하거나 대충적 삶으로부터 얻어지는 열매를 기대하기보다는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려는 노력과 절실함만이 자신의 경쟁력을 지켜줄 수 있을 것이다. 다행히도 강의 시간에 느껴지는 수업 분위기에서 학생들의 눈빛이 살아있음을 느낀다. 수업이 끝난 후에도 줄을 길게 서서 질문하려는 학생들을 보면서 희망을 본다. 교수님들 역시 강의와 연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최소한 내가 속한 학과의 교수들 모두가 학생들과 소통하려 하고 잘 가르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느껴진다. 옛 시절의 강의실 분위기와 현재의 분위기는 격세지감일 정도로 많이 달라져 있다는 것은 우리의 미래가 매우 긍정적임을 암시하는 신호이기도 하다. 이렇듯 대학구성원 모두가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한다면 대학의 미래는 낙관적이며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사회도 건강하게 계속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무조건 최선만을 강요하는 분위기에서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낼 수 없을 것이다. 대학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어떻게 이끌어내어 극대화할 수 있느냐는 대학본부의 역할이다. 무엇보다도 오랫동안 대학 내에 존재하고 있는 냉소적인 무관심과 갈등을 걷어내고 조직에 따스한 온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모두가 소통과 화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못하는 사람의 몫을 빼앗아 잘하는 사람에게 주는 제로섬의 방식으로는 소통도 없고 화합도 없을 것이다. 모든 사람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하기 때문에 결국은 튼튼한 재정이 뒷받침되어야 화합과 혁신을 위한 설득도 가능하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우리 대학의 재정적 여건은 매우 열악하다. 그렇다고 그 불행함만을 탓하거나 누구의 잘못이라 과거를 탓하기보다는 대학 발전을 위한 구성원들의 생각들을 모을 수 있을 때 대학다운 대학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대학이 급격한 주변 환경의 변화로 인해 어느 때보다도 환골탈태 할 수 있는 확실한 계기가 마련되어야 한다. 미래를 위한 역동적인 대학으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대학발전을 위한 커다란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열정과 진정함이 묻어나는 민주적 리더십이 필요하며 그 리더십과 함께 대학의 구성원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