演劇(연극) 붐…부단한 努力(노력)으로 持續化(지속화)해야

  이제 한국 연극도 60년대와 70년대 초의 기반형성기를 지나 성숙의 단계인 중흥기를 맞이했고 이에 뒤따라 관객의 증가도 현저해짐으로써 앞으로도 연극계에 밝은 전망이 눈앞에 펼쳐지는 이 시점에서, 우리 연극인들은 앞으로의 새로운 설계를 해봐야겠다. 오늘이 있기까지 우리 연극인들은 자부심과 의지, 투지로 우리가 처해진 악조건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꿋꿋하게 내일을 위해 무거운 멍에를 짊어지고 걸어왔다.
  우리가 지금까지 걸어온 발자취를 더듬어보면 모순된 점과 불합리적인 면이 많이 들춰진다. 한 예로 극단 ‘시스템’인데 국립극단을 빼놓고는 대부분의 극단들이 同人制(동인제)극단 형식으로 그들의 예술행위를 해 왔다.
  이 동인제극단이란 단원 전체가 연극의 제작자, 극단의 운영자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수익이 없으면 아무런 불평 없이 그들이 감수해야만 했었다. 이것은 개인운영자가 없기 때문에 ‘경제적인 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 제도에 어긋난 한 면을 헤쳐 보면 지금까지 한국연극을 지탱해온 동인제극단이라고 하지만 엄격한 의미에서 동인제극단이라고 할 수 있는가 의심스럽다.  극단에 수입이 있을 때는 제대로 배당이 되며, 적자를 냈을 때는 동인들이 공통으로 부담하고 있는가? 동인제라는 미명아래 무책임하고 쉽게 연극 행위를 하려는 속셈들이 한국의 배우들은 정당한 출연료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다음 공연 프로에 이끌려 의식 아닌 무의식 속에서 힘겹게 의욕과 사기가 충만 되지 않는 상태로 그들의 연극 행위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가 제대로 확립되지 않는 아래서 어떻게 참다운 예술창조가 이루어지겠는가 의심스럽다. 하루라도 빨리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결되어져야만 의욕에 찬 한국연극이 지속될 것이다.
  그리고 요즈음 연극 붐이라 뭐다해서 연극계에도 술렁대는데 이럴 때일수록 우리 연극인들은 냉정한 판단과 의식 속에서 연극 행위를 해야만 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과거를 되돌아 볼 때 한 말로 말해서 연극암흑기였다. 이제야 조금 조금씩 희망의 햇살이 비춰지는 이 순간에 극장주변에서는 관객들이 극장문을 나서면서 돈이 아깝다, 너무 비싸다, 하는 말들이 제법 오르락내리락 하는데 이 관객의 소리를 우리 연극인들은 계속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려보낸다면 이것 역시 큰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연극이란 관객들이 구미를 맞추어 주는 韓定食(한정식)처럼 많은 반찬을 내놓을 수 있다는 점에서 불편을 느끼는데 예술이란 어느 누구의 장단에 맞추어서 행해지는 게 아님을 스스로 알고 꿋꿋하게 진실된 노력의 냄새가 물씬 물씬 나도록 예술 창조를 하면 별 문제점이 아닌 것 같다. 그렇지만 우리 연극이 관객들이 바라는 만큼 노력으로 진실 되게 예술창조를 해 왔는가를 생각해보면 그렇지가 못한 것 같다. 한 가지 웃지 못할 얘기로 某劇團(모극단)의 예인데 ‘공연 일자는 발표돼서 막은 올려야 했고 그래서 허겁지겁 배우를 찾고 대본을 선택하고 아주 짧은 기간에 밤새워서 연습을 강행군시켰다’고 한다.
  막을 올리는데 아무리 작품이 쉽고 배우들의 능력이 천재라 할지라도 진실 되게 역창조를  그 짧은 기간에 해낼 수는 도저히 없는데 대부분의 극단이 이렇게 날림공사 격으로 예술 행위를 자행하고 있다. 그러니 관객 수준도 옛날 같지가 않고 수준급 이상일 텐데 불평불만이 안 나올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 연극인들은 이러한 점을 심사숙고해서 앞으로의 연극 발전에 이바지하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우리 연극도 이제 정상을 향해 발돋움하고 있는 점에서 우리의 민족극의 확립이 아쉬운 감이 있다. 하루라도 빨리 우리의 전통극이 수립되기를 염원하는 바이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