在來種(재래종) 들깨의 花成(화성)‧品種成分(품종성분)의 硏究(연구)

  本(본)연구는 들깨의 花芽分化段階(화아분화단계)(1971)와 花芽(화아)의 分化(분화), 發育(발육)에 미치는 日長(일장)의 영향 (1972), 花芽(화아)의 分花(분화), 發育(발육) 및 收量(수량)에 미치는 植物生長調節劑(식물생장조절제)의 영향(1973) 優良種(우량종) 選拔(선발) (1971~1974), 種實(종실) 및 잎의 成分(성분) 分析(분석)(1975) 등의 實驗(실험)을 하여 얻은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花芽分華(화아분화) 段階(단계)를 5期(기)로 나누었다. 第(제)1期(기) 分化初期(분화초기)(生長點(생장점) 膨大期(팽대기) 第(제)4期(기) 小華(소화) 分化期(분화기), 第(제)5期(기) 小花(소화) 形成期(형성기)
  2. 花芽(화아)의 分化(분화)에 미치는 短日反應(단일반응)의 한계일장은 14時間(시간)이며 最適日長(최적일장)은 8~10시간으로 보였고 분화 초기의 소요일수는 7일 내외였다. 花房分化期(화방분화기), 花房(화방)형성기, 小花分化期(소화분화기), 小花形成期(소화형성기) 등 각기에 소요되는 일수는 약 3~4일간이며 伸育期(신육기)에 소요되는 일수는 10일 내외였다.
  花芽(화아) 분화기의 총 소요일수는 21~25일 전후이며 伸育期(신육기)를 경과하여 개화기에 이르기까지는 30일 내외가 소요되었다.
  3. αNAA 10ppm은 花成(화성)에 아무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수량 면에서는 약5%의 증수를 보였고 100ppm은 花成(화성)에 약간의 지연작용이 나타났다.
  4. GA는 花成(화성)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節間伸長(절간신장)은 촉진하였다.
  5. 전국 25개 在來品種(재래품종)에서 우량종을 선발한 결과 收量(수량)이 우량한 품종은 大邱種(대구종)(74.2kg/10a) 大田種(대전종)(72.9kg/10a) 木浦種(목포종)(71.7kg/10a)의 순위였고 油量(유량)이 우량한 품종은 仁川種(인천종)(52%), 群山種(군산종)(50.87%), 務安種(무안종)(50.4%)의 순위였다.
  6. 種實(종실)의 蛋白質(단백질) 함량은 大邱種(대구종)이 22.31% 大田種(대전종)이 19.15%였고 잎의 단백질 함량은 大田種(대전종), 大邱種(대구종)이 각각 5% 이상을 함유하였다.
  7. 비타민 C와 B2는 잎에 각각 60mg/100g 170ug%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8. 種實(종실)의무기질은 K・Mg가 많았고 잎에는 K, Ca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대부분의 무기질은 種實(종실)에 비하여 잎에2~10배 이상을 함유하고 있었다.
  9. 大田種(대전종)의 種實(종실)에는 遊雄(유웅) Amino acid로 arginine(54.2mg%) alanine(23.9mg%)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잎에는 glutanic acid(24.8mg%)
alanine(9.1mg%)이 많이 함유되어있었으며 특기할만한 사실은 histidine 이 種實(종실)에 2.3mg%, 잎에 0.9mg%로서 다른 식품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