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월보의 창간

동대신문의 역사는 1947년 가을 창간된 동국월보(東國月報)로부터 시작됐다. 박종선, 정익용 등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신문의 타블로이드 4면 ‘동국월보’의 창간 준비가 이뤄졌다. 그러나 게재된 몇 편의 논문이 정치적으로 불순하다는 점과 정 동문이 쓴 교수 프로필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배부되지도 못한 채 압수처분을 당하게 된다. 당시 창간이 됐다면 전국 38개 대학 중 최초의 대학신문이 될 수 있었지만 문학부내에서 만들어져 완전한 신문의 형태라고 보기는 어렵다. 지금까지 창간호라 이름 붙여진 신문은 1950년 4월 15일 당시 중앙학생회 회장이었던 신국주와 이외윤, 박내춘, 이종한, 오봉열 등 신문 동호인들이 유산되고 만 ‘동국월보’의 뒤를 이어 만든 대판 4면의 동대신문이다.

전쟁 중 만든 제 2호

동대신문은 2호 조판 중 6.25 전쟁의 발발로 또다시 발간이 중단됐다. 이후 부산 피난지에서 타블로이드 4면으로 동대신문 2호를 52년 6월 속간했으나 조연현 동문의 ‘동국대학과 나’라는 글이 학교의 명예를 훼손시켰다는 이유로 보일러실에서 불태워지고 만다. 동대신문은 그해 10월 1일 발행된 타블로이드 4면 ‘동국월보’로 간신히 명맥을 잇는다. 하지만 이 신문 역시 1면에 게재된 이형기의 논문과 학장의 격려사, 그리고 이종출의 ‘경사진 항구’라는 시가 말썽이 되어 중단되고 11월 20일 발행된 동대신문이 실질적인 2호가 된다. 결국 환도 후 1953년 4월부터 양주동 교수의 지도하에 3호가 속간되면서 동대신문은 기반을 다지게 된다. 이어 11월부터 타블로이드판 ‘동대월보’가 속간됐다. 이어 55년 2월 20일 발간된 제 19호부터 배대판 4면으로 증면됐고 그 해 7월 ‘동대신보(東大新報)’로 제호가 바뀐다. 같은 해 9월 5일 ‘동대시보(東大時報)’로 제호를 변경한다. 현재의 동대신문이라는 제호는 200호(1962년 7월 12일자)부터 쓰이게 된다.

깨져가는 운동장의 꿈

1960년 10월에는 주간제를 두고 초대주간에 정태용 동문이 취임했다. 이듬해 7월 5일에는 ‘깨져 가는 운동장의 꿈’이라는 제목의 대학신문 최초의 호외 제 1호가 발간된다. 이 사건의 전말은 이렇다. 5.16 군사쿠데타 이후 장충단 쪽에 느닷없이 중앙 공무원 교육원(현재의 혜화관)이 착공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운동장이 없어 발전하지 못하고 있던 우리대학으로서는 그야말로 절망적인 소식이었다. 중앙도서관 남쪽 장충단 공원에 운동장을 설치하는 게 당시 학생들의 유일한 꿈이었기 때문이다. 바로 그 꿈의 자리에 정부가 중앙공무원 교육원 건물을 착공한다는 것은 전교생에게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결국 동대신문사 기자들은 밤을 새워 호외를 제작, 아침 일찍 뿌리게 된다. 결국 이로 인해 전교생이 시위를 벌이게 되는 데까지 이르게 된다.

검열과 탄압 속에서 발휘된 재치

62년 7월 12일에는 제호가 ‘동대신문’으로 변경됐다. 한편 1964년 4월 24일자에 4.21 굴욕적 한일회담 반대와 관련하여 ‘다시 이 거리에 피를 뿌리다니’ 기사와 함께 실린 사진 3장이 문제돼 학교당국에 의해 압수, 소각된다. 그리고 그해 8월 6.3 사태로 비상계엄과 함께 계엄군이 대학에 진주한다. 동대신문도 어김없이 전면적 검열을 받게 된다.  765호 (80년 5월 13일자) 12면에 실린 ‘유신독재 반대 각계 시국선언문’은 주요 내용이 삭제된 채 허연 여백을 남기며 게재된다. 이런 신문을 벽돌신문이라 하는데 암울한 시대상황을 상징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