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아 기자

지난 9일 4.19혁명을 기념하기 위한 동국인 등산대회가 열렸다. 올해도 어김없이 등산대회 전부터 학생들은 휴강 문제를 거론했고, 교수들은 각기 휴강한 수업과 휴강하지 않은 수업으로 분분(紛紛)했다.  

해마다 열리는 4.19 등산대회, 대학본부 측은 등반 당일의 수업 일정에 대해 전적으로 교수 재량(裁量)에 맡기고 있다. 본부 차원에서 교수들에게 휴강 조치를 권고(勸告)하기는 하지만 의무사항은 아니다. 뿐만 아니라 등산대회 참가 인원을 본부 측에서 따로 파악하지 않기 때문에 교수가 내리는 휴강조치의 여부와 관계없이 학생들이 등산대회에 참가하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등산대회 전 교수와 학생은 매번 휴강 문제로 혼선(混線)을 빚고 있다.

등산대회일 휴강하지 않고 수업을 진행한 데니스 세르반테스(경영학) 교수는 “학생들이 하나같이 등산대회를 결강사유로 얘기하지만 확인할 수가 없지 않느냐”며 “4.19를 학교 측에서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기념일(紀念日)로 제정해, 통일성 있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교양교육원의 한 교수 역시 “등반일 휴강하지 않고 수업을 진행해도 출석률이 절반도 안 된다”며 “본부 측에서 등산 참가 인원을 확실히 파악해 둘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4.19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우리대학 선배들의 뜻을 기리고자 마련된 4.19등산대회가 ‘휴강 여부’의 문제로 비화됐을 뿐 아니라, 확실한 휴강 혹은 수업을 결정하기도 애매한 상황인 것이다. 이에 대해 본부 측은 “4.19등산대회는 수십 년 동안 내려온 학교의 전통인 만큼, 따로 휴강 조치를 하지 않아도 관례적으로 휴강”이라는 입장이다.

4.19혁명의 뜻을 되새겨보고자 마련된 행사의 의미가 변질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 휴강이냐, 수업이냐의 기로에 서서는 4.19혁명을 추모할 수 없다. 4.19를 추모하기 위해서는 선(先)과제가 해결돼야 한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