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폄훼(貶毁) 속 실추된 그의 명성을 되찾는 것이 급선무

요즘 국내에서는 안중근 의사를 ‘장군’으로 바꿔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가 의병 참모중장의 자격으로 하얼빈 의거를 결행했기 때문에 호칭을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실제 육군 계룡대에서는 ‘안중근 장군실’을 명명하여 사용하고 있다. 물론 우리 군의 입장에서는 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안중근 의사를 장군이라는 협의의 의미로 제한하여 부른다면 그가 펼친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 역시 우리만의 ‘영웅 안중근’에 국한될 것이다. 오히려 우리가 안중근 의사의 세계사적 위상을 깎아내리는 형국이 되고 말 것이다.

 동양평화 위한 결행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 역, 청년 안중근 의사의 손끝에는 우리 민족의 염원이 농축되어 있었다.
이토오 히로부미를 처단한 안중근 의사는 다음해 3월 26일 여순 감옥에서 순국하였다. 그의 의거는 일본제국주의의 한일병탄에 대한 오만함을 일거에 제거한 쾌거이자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자유와 정의를 세상에 드러낸 거대한 울림이었다.

 하얼빈 의거는 그가 단순히 이토오 히로부미를 개인적 원한에 의해 처단한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일 것이다. 그는 제국주의 열강들이 ‘사냥개’처럼 약소국을 침략하던 시기 대한제국 역시 여기에서 자유롭지 못한 현실을 파악하고 교육운동과 의병활동을 통해 구국의 최전선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동양평화를 외친 전도사이자 실천가였다. 하얼빈 의거는 바로 동양평화의 최대 걸림돌인 이토오 히로부미를 공적(公敵)으로 판단하여 결행한 역사적 사건이었다.

안중근을 폄훼하는 일본

 일제는 근대 일본의 가장 뛰어난 정치가인 이토오 히로부미가 죽었다는 사실만을 부각하여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폄훼하려고 여순에서 진행된 재판에도 깊숙이 관여하였다.
하지만 그가 재판과정에서 보여준 의연함은 결국 영국의 한 기자가 이 재판 최후의 승자는 ‘안중근’이었다라고 갈파한데서 알 수 있듯이 일본제국주의에 정신적 패배를 안겨주었다.

일제가 안중근 의사 순국 이후 미친듯이 그의 후손들을 찾아 다닌 것도 안중근 의사에 의한 정신적인 패배를 만회하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이었을 것이다. 그만큼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론에 입각한 하얼빈 의거는 일제의 ‘군홧발’ 아래서도 생동력을 지닌 고귀한 것이었다.

그가 주장한 동양평화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침략적 태도를 바꿔 한중일 삼국이 서구제국주의 열강에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한중일 삼국 이외의 태국 등을 비롯한 아시아 제민족을 이 구성체에 포함하여 동양평화를 추구해야 하며, 셋째는 공동은행을 설립하고 공동화폐를 발행하여 경제적 블록을 완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의 동양평화론은 유럽 연합에서 진행하고 있는 경제적 공동체를 이미 100년전에 구상하였을 만큼 탁월한 사상이었다. 또한 2009년 한중일 정상들이 동아시아공동체 건립을 지향하는 성명서를 낼만큼 선견지명을 지닌 사상이기도 하다.

세계가 인정한 안중근

 이러한 안중근 의사에 대하여 한편에서는 ‘테러리스트’라는 아주 치졸하고 저열한 표현을 쓰고자 한다. 통탄할 일이다.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에 대한 이미 다른 나라, 예컨대 중국의 유명한 정치지도자 주은래는 “한중양국 항일투쟁의 시발은 바로 안중근 의사의 총성 첫발”이라고 하였으며, 중국의 근대 사상가인 양계초는 “가을바람 속에서 이토오가 사살되다”라는 글에서 안중근 의사의 의거 상황을 생생하게 그려 냈다. 이외에도 중국에서는 안중근 의사 관련 연극과 영화도 제작될 정도였다.

그가 단순히 개인적인 원한에 사무친 테러리스트였다면 외국인들이 그의 행위에 대해 후대에까지 칭송하며 기리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안중근 의사는 우리민족뿐만 아니라 세계인들의 가슴 속에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 세계인의 ‘의사’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안중근 의사의 유언 “죽거든 하얼빈공원에 묻었다가 광복 후 조국으로 반장해 다오”를 아직까지도 지키지 못하고 있는 후손으로서 부끄러울 따름이다. 그의 숭고한 정신을 훼손시켜 안중근 의사=테러리스트라고 단정짓는 후안무치한 후손이 되어서는 더더욱 안 될 것이다.
순국 100년, 그 끝나지 않은 동양평화의 노정 속에서 다시한번 그의 위대하고 아름다운 정신을 되새겨본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