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는 나의 사랑이자 미움이다. 희망이자 절망이다”

홍사성 동문은 저자 서문에서 불교에 대한 심경을 그렇게 토로했다. 평소 독실한 불교 신자로, 또한 정론직필을 평생의 업으로 삼아온 저자의 이력에 비춰보면 위의 문장은 이해하기 어려운 도발적인 발언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정법 천하를 기다리며’를 읽다보면 불교를 바라보는 저자의 안타까움과 분노에 절로 머리가 끄덕여지고 만다.

‘정법 천하를 기다리며’는 저자 홍사성 동문이 불교 언론인으로 30년간 여러 신문과 잡지 등에 실었던 칼럼들 중 몇 편을 선별해 출간한 책으로 출판과 동시에 불교 독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정법 천하를 기다리며’에서 저자는 불교계의 치부에 대해 미움과 절망을 담고 있으면서도 사랑과 희망의 끈을 놓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미움과 절망을 털어냄으로 미래 불교의 사랑과 희망을 세울 것을 주문한다. 저자 스스로 어쩔 수 없는 신앙인으로 “불교만큼 우리의 삶을 바르게 이끌어주는 가르침은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또한 이 책에 수록된 대부분의 글들은 한국불교가 건강한 정법으로 바로세워지기를 갈망하며 쓰여진 것들이다. 그렇기에 때로는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고, 때론 필화에 시달리기도 했었다. 하지만 이 글들은 지금도 여전히 아직 풀리지 않은, 앞으로 풀어야 할 현재 진행형인 불교계의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또한 저자는 책을 통해 불교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자신들의 이기적 필요에 따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멋대로 왜곡하고 훼손하는 현실에서 이를 극복할 방법은 오로지 부처님의 가르침을 올곧게 해석하고 이를 수행과 신행에서 실천하는 길밖에 없다”고 말하고 있다. 때문에 책 내용의 대부분이 부처님의 말씀과 그분의 행적을 근거로 삼는 것, 책의 제목을 ‘정법 천하를 기다리며’라 붙인 까닭도 여기서 설명할 수 있다.

하기에 불교를 불교답지 않게, 더러는 권력과 이권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수행자들, 학문보다는 줄서기에 익숙한 학자들, 복짓기보다는 복빌기에만 애가 닳는 신도들.

저자는 한국불교의 치부에 가감 없이 메스를 들이댄다. 어느 한 부류가 아닌 모든 불교인들의 총체적 난맥상을 보노라면 자연스레 얼굴이 붉어질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불교인으로서 또한 불교 신자로서 저자의 지적에 공분하지 않을 수는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찌해야 할 것인가. 그 답은 독자들의 행동으로 결정될 것이다.

‘정법 천하를 기다리며’를 읽으며 저자가 말하는 참된 불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다시 한번 고심해 볼 기회를 갖길 바란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