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적 향상 위한 제도 추진
업적 평가제 시행 및 인센티브 강화

홍기삼 총장은 취임 후부터 연구 분야의 실적과 연구원의 주도적 연구역할을 높이기 위해 연구 인센티브제도 강화와 연구업적평가 제도를 개선해왔다. 이러한 연구 환경에 대한 개혁이 연구 활성화 및 논문 실적 증가 부분에서 가시적 효과를 가져왔다.

연구업적평가 시행

연구업적평가 및 인센티브 제도의 시행은 일부 교수들의 연구에 대한 안일함을 일깨우고 연구의욕을 고취시킨다는 시행취지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하지만 그동안 각 분야별 학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각 학문분야에 획일화 된 기준을 적용해 시행 당시 교수회 측의 반발을 불러와 갈등이 발생해 평가기준이 문제시되기도 했다.
연구업적평가 시행에 대해 문과대의 한 교수는 “연구업적을 평가할 때 일률적인 기준으로 평가한 부분이 있었지만 이를 통해 교수들의 안일함을 일깨워 준 부분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연구활성화 및 실적 증가

홍 총장은 취임 직후부터 연구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제도 개편에 들어가 2003년 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비 가지급제 시행, 2004년 연구업적평가 규정 및 시행세칙을 개정해 적용하는 노력을 보였다. 하지만 교수들의 동의나 적극적인 참여가 부족한 상황에서 제도가 시행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연구 성과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자 했던 점은 연구원의 연구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었다는 평가이다.
실제로 교내·외 연구비 수혜현황의 증가는 연구업적평가 시행, 인센티브 강화가 긍정적 효과로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2003년부터 2004년까지 교수 1인당 논문실적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년간 국내·외 학술논문 발표현황에서 두드러진 증가율을 보인 것은 홍 총장 취임 초기부터 연구비 지원을 늘리고 평가업적을 강조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연구 분야에 대한 양적 평가와 더불어 학문별 기준을 적용한 평가를 통해 특수성을 살린 연구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연구성과에 대한 평가가 구성원들에 대한 사전 의견수렴과정을 거쳐 이뤄져야 하며, 이와 함께 평가업적을 개정하고 인센티브를 늘리는 것뿐만 아니라 환경조성을 위한 노력도 앞으로의 과제이다.

산학협력단 출범

산학협력단은 독립적 기구의 성격을 띠고 만들어졌지만 출범 초기부터 예산문제와 전문인력 부족이 문제로 지적돼 왔다. 예산 문제의 경우 산학협력단이 2006년부터는 자본금 출자 5억을 받게 되면서 점차적으로 안정화된 운영시스템을 갖춰나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조성구(산업시스템공학) 연구처장은 “우리학교 뿐만 아니라 다른 학교의 경우에도 초반부터 완전한 독립법인의 형태를 갖추기는 어렵다. 교육부 차원에서도 각 대학 산학협력단 초기단계에는 2~3년간은 지원을 해주고 있다”고 밝혔다.
초기부터 지적됐던 인력부족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현재까지 산학협력단 운영은 연구처 소속직원들이 산학협력단 업무를 겸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연구비와 과제수가 늘어나면서 인력부족 문제는 보다 심화되고 있다. 해결을 위한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앞으로도 체계적인 운영을 위한 인력구축과 재정확보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