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국립대 생명공학과 이태용 교수 인터뷰

올해로 싱가포르국립대학교에 온 지 4년째에 접어든다는 이태용 교수. 이 교수는 현재 생명공학과 교수로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골다공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태용 교수는 인제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을 졸업한 뒤, 위스콘신대학(University of Wisconsin)에서 석ㆍ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선택받은 소수와 공부 잘하는 소수 그리고 대다수의 사람이 있기 마련이지만, 전자가 항상 우월하지는 않다”고 말한다. 그는 언제든 대다수의 사람들도 노력 여하에 따라 선택받은 소수를 추월할 수 있는 ‘가능성’의 힘을 믿는다.

지금으로부터 4년 전, 이태용 교수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총장으로부터 소위 말하는 ‘러브콜’을 받았다.  이 교수가 위스콘신대학에서 지도교수와 함께 펴낸 논문이 ‘Nature’에 실리게 됐고, 그것이 계기가 됐던 것. 러브콜을 받던 당시, 이 교수는 ‘위스콘신에서의 연구 경험을 되살려 싱가포르에서 더 좋은 연구를 해 달라’는 총장의 부탁을 받기도 했다. 이 교수가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에 초빙돼 온 지도 4년, 그는 어떤 환경 속에서 연구를 하고 있을까.

“싱가포르국립대에서 말하는 논문은 모두 SCI 논문입니다, SCI 논문이 아닌 것은 논문이라 부르지 않죠” 싱가포르국립대학에서 논문이라 부를 수 있는 논문의 수준은 꼭 SCI정도다.  이태용 교수는 “한국에서도 학회지에 논문을 달라고 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그런 경우의 논문은 이력서에는 쓰지 못 합니다”라고 말한다.  이태용 교수가 속해 있는 공대의 경우, 3년 동안 지원되는 최소한의 연구비가 1억 8천 만원이다. 연구성과를 보이는 교수들에게, 대학은 과감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이 교수는 “연구 성과가 좋은 교수의 경우, 학교의 연구비 지원이 너무 많아 주체를 못할 정도”라며 “하지만 반대로 성과가 없는 교수는 연구비 지원이 거의 없다”고 말한다. 스쿨버스(School Bus)가 캠퍼스 내를 돌아다닐 정도로 넓은 캠퍼스에서, 교수들은 연구공간의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치러야 한다. 연구성과를 인정받지 못할 경우 연구 공간이 끊임없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태용 교수는 “연구를 잘 하는 교수는 계속 잘하고, 못 하는 교수는 계속 못하게 될 수 밖에 없다”며 “첫 단추를 잘 꿰어 선순환의 고리를 이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에서는 1년에 한 번 교수들의 연구비 지원기준을 만들기 위해 교수들의 연구에 대해 내부적인 심사가 이뤄진다. 공대 내에서만 3 : 1의 경쟁률이다. 이 교수는 “제출되는 150여개의 과제 중 50과제 정도만이 선정된다”며 “1년에 한 번 있는 심사에서 연구비 지원을 받지 못하면 연구에 필요한 기자재를 구입할 수도 없고, 해외에 나가 논문을 발표 할 수도 없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고 설명한다. 이 교수가 ‘악순환’이라고 까지 설명하는 데에는 공대 내부에서 통용되는 교수의 연구비 계산 공식 때문이다. 즉 1억원의 연구비가 지원됐는데, 5천만원 정도의 성과밖에 나오지 않았다면 그 교수의 앞으로의 연구비 지원은 5천만원 수준에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교수 연구에 대한 내부심사 결과 ‘연구비 지원 A에 따른 교수의 성과는 B’라는 공식이 성립되면 이에 따라 앞으로 그 교수의 논문 한 편당 연구비 금액이 책정되는 것이다. 이태용 교수는 “어떤 교수는 논문 한 편에 1억을 지원 받는가 하면, 어떤 교수는 2천만원이 채 안 되는 교수들도 있다”고 말한다. 연구하는 교수들 사이에서 말 못할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가혹할 정도로 성과를 요구받는 싱가포르 국립대의 요즘 분위기는 거기에 하나가 더 추가됐다고 한다. 성과만으로는 부족하고 이젠 ‘Impact있는 논문이 대세’라는 것.

펴내는 논문 수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논문이 타인에게 얼마나 인용되는지가 보다 중요한 문제라는 것. 이태용 교수는 “예를 들어, 아무개 교수를 연상했을 때, 그의 연구성과가 자동으로 연상될 수 있는 영향력이 큰 논문을 쓰라는 요구”라고 말한다. 이태용 교수는 싱가포르 국립대에 온 시점부터 현재까지 약 12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았다. 연구 성과도 우수할 뿐더러, 연구비 지원 실적으로만 보아도 상위랭킹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같은 한국인 교수의 입장에서 국내 연구 환경에 대한 조언을 부탁했다.  그는 영어 만능주의자는 아니라고 조심스레 전제한 뒤 영어논문과 해외 학회에서의 활동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 “한국에서 나오는 논문도 전부 영어로 쓰게 해 세계적으로 읽히게끔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세계 주요 학술지에 영어로 작성된 논문이 소개되고 이를 통해 세계의 많은 연구자들이 읽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교수들이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은 풍부한 재정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재정이 뒷받침된다고 해서 연구성과가 반드시 나오지는 않는다. 좋은 성과가 나오기 위해선 연구환경에 대한 뒷받침과 함께 연구성과를 검증하는 철저한 시스템이 반드시 존재한다. 우리 대학에 필요한 시스템은 무엇인가를 생각해 봐야 할 때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