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내 곳곳에서 정치주제로 토론 벌여

총선을 열흘 정도 앞두고 ‘대학생 정치참여’ 열풍이 본교에도 불어왔다. 여기 저기 흐드러지게 핀 개나리 꽃 사이로 학생들이 삼삼오오 모여 ‘정치’를 주제로 이야기꽃을 피웠다.
여명과 민주법학회 등의 동아리·소모임 등지에서 ‘노 대통령 탄핵’‘17대 총선 전망’등에 관한 활발한 토론의 장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동아리에 속하지 않은 일반학생들도 토론의 장에 동참해 열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길기웅(경영2) 군은 “요즘 주변에서 정치에 무관심하던 친구들까지도 한 번씩 ‘총선’을 이야기한다”며 부쩍 높아진 정치에 대한 열기를 실감한다고 말한다.

탄핵반대 성명 등 정치사안에 관한 여러 대자보도 눈길을 끈다. 정치에 관심이 없던 학생들도 지나가다 얼핏보고 공감이 가는지 연신 고개를 끄덕인다. 특히 탄핵 사태이후 국민의 권리를 찾자는 의식이 확산되면서 이전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정치관련 대자보도 쉽게 지나칠 수 없게된 것이다.
하지만 탄핵이후 갑자기 높아진 대학생 참여 바람이 “냄비열풍이 아니냐”는 지적도 흘러나오고 있다. 매체비평연구회의 전지혜(교육3) 양은 “이번 투표가 지난 번 대선 때처럼 이회창 후보가 싫어서 노무현 후보를 투표하려 했던 것과 같은 한순간적 열기가 아니냐”며 “이번 총선투표열기도 전체적인 대학생들의 의식 향상으로 투표율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이벤트성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에 진정으로 대학생 정치참여의식을 높이려면 의식 뿐 아니라 제도 개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곳곳에서 나왔다. 최윤혁(문창1) 군은 현 선거연령을 하향조정할 필요성에 대해 말한다. 그는 “국방의 의무 등은 주어지는데 정치참여권리를 부여하지 않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며 “선거 연령을 낮춰야 대학 1,2학년들도 정치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다”고 주장했다. 이제웅(통계학4) 군도 “대학생들도 나름대로 소신과 가치관을 지녔다”며 “자신의 이해관계에 따라 투표하는 일부 3,40대보다 오히려 1학년들이 소신껏 투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층 높아진 대학생의 정치참여열기에도 지난달 31일 마감된 부재자 투표소 최종 신청인원은 투표소 설치 가능인원인 2000명에 약간 못 미치는 1500여명에 그쳤다. 지난 총선 부재자 투표소 신청 인원이 467명이었던 것에 비하면 ‘폭발적인 반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대학생들의 정치 참여 열풍은 비단 본교에서만 그치지 않는다. 지난달 27일 한양대와 고려대 등을 비롯한 12개 대학에서 각각 2천명이 넘는 대학생들이 부재자 투표를 신청했고, 이외에도 70개 대학 6만 여명의 대학생들이 부재자 투표 신청에 동참해 “대학생 정치 참여가 저조하다”라는 말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본교의 부재자투표 신청운동이 ‘2%’가 부족하지는 않았나 아쉬움이 남는다. 학생 수와 지방 학생의 비율 등으로 미루어 본교와 비슷한 건국대는 2000명을 넘겨 부재자 투표소를 설치하는 반면 본교는 설치하지 못한 것이다. 이는 어떻게 보면 예상했던 결과이다.
건국대의 경우 지난 2월부터 ‘유권자 운동본부’를 조직해 총학생회뿐만 아니라 총여학생회 신문사 등 여러 단체들이 정기적으로 만나 치밀하게 부재자 투표 설치를 위해 노력했다.
반면 본교는 상대적으로 대자보 등을 통한 소극적 홍보에 그치고, 부재자 투표 신청을 받는 담당자가 자리를 비우는 경우가 종종 있었던 것이다.

이와 관련해 민족사 연구회 회장인 박철우(경제2) 군은 “부재자 투표 신청일이 마음대로 바뀌고, 장소도 일정치 않는 등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며 부재자 투표 신청소 설치가 무산된 것에 대해 아쉬움을 표현했다.
이제 캠퍼스에서도 투표하는 시대가 왔다. 16대 국회에 근조를 말하던 그 입과 촛불을 통해 탄핵반대를 주장했던 그 손으로 4월 15일 다시 한 번 ‘개혁’을 일으킬 때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