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등장한 ‘N잡러’라는 신조어는 2개 이상 복수를 뜻하는 ‘N’과 직업을 뜻하는 ‘job’, 사람을 뜻하는 ‘~러(er)’가 합쳐진 말이다. 즉, 본업 이외에 여러 가지 일을 함께하는 사람을 말한다. 2017년부터 한국의 언론 매체를 중심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이 용어는 현재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실제로도 수많은 N잡러 혹은 N잡러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으로써 이 명칭은 이전과 다르게 변화한 한국 사회의 모습을 설명 해 주는 중요한 용어가 됐다.

▲ 일러스트. (사진출처=pixabay.)

N잡, 무엇이 달라졌나

N잡이란 말이 생기기 이전에도 부업이나 투잡, 쓰리잡 등으로 여러 가지 일을 하는 사람들을 우리 주변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 기존의 부업이 생계유지를 주된 목적으로 삼으며 편의점, 대리운전 등 고정적이지 않은 아르바이트식의 노동을 떠올리게 했다면 N잡은 본업에 더불어 자신의 취미, 능력을 살리는 다양한 형태의 노동을 연상시킨다.

이 같은 인식이 대중적으로 확산될 수 있었던 주된 이유는 근무 시간의 단축이었다. 2004년부터 시행된 주5일근무제와  2018년 시행된 주52시간 근무제는 노동자들의 휴식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근로기준법 개정이었는데, 줄어든 근무시간으로 사람들은 ‘저녁이 있는 삶’을 되찾으면서 일과 삶의 균형, 소위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을 추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은 미뤘던 취미와 자기계발로 눈을 돌리게 됐다. 실제로 광주에서 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는 최 모 씨(47)는 퇴근 후 집에서 차를 볶아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는 N잡러다. 그는 “원래 차와 요리에 관심이 많았는데 취미생활도 하고 용돈도 벌고 일석이조다”라며 만족감을 내비쳤다.

또한 본업이 있는 상태에서 시작한 N잡이 오히려 본업이 된 경우도 있다. 유튜브 채널 ‘N잡하는 허대리’를 운영하는 유튜버 허대리는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N잡에 집중한 경험을 밝혔다. 그는 회사를 다니기 전부터 해온 글쓰기, 1인 사업, 중국어 교육 콘텐츠 제작 등에 퇴사 후 보다 더 적극적으로 몰두하면서  많은 경험을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처럼 N잡은 누군가에게 자아실현의 기회가 되기도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시대적인 요구에 반응하듯이 현재 시중에는 400여 권 이상의 부업, N잡과 관련된 책들이 판매되고 있다.

대학생들의 N잡과 플랫폼

그렇다면 요즘 대학생에게 N잡은 어떻게 자리잡고 있을까? 가장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온라인 플랫폼’이 주목받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등장한 온라인 플랫폼은 노동 공급자와 수요자가 노동 상품을 거래할 수 있도록 온라인 상의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같은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의 이동을 O2O(Online to Offline)라고 한다. 상품, 운송, 재능 등 다양한 노동을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은 하교 이후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싶은 대학생에게 좋은 방법이 된다.

대표적인 예로 ‘배민 커넥트’가 있다. 시간과 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하굣길에도 소소한 용돈벌이를 가능하게하는 이 플랫폼은 배달 경험이 없는 사람들도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양만큼 배달해 수익을 창출해준다. 또다른 온라인 플랫폼인 ‘숨고’는 자신이 가진 재능을 제공하거나 필요한 재능을 가진 사람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일반적인 학업 관련 과외 뿐만 아니라 보컬, 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과외를 받을 수 있다. 게다가 도배, 행사 진행, 명함 제작 등 자신이 가진 능력은 어떤 것이든지 등록해 거래가 가능하다. 이와 함께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자신이 직접 제작한 상품을 판매할 수도 있다. 우리대학 학생 박효원(21) 씨는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에서 자체 제작 티셔츠를 판매하고 있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자신만의 브랜드를 가지고 싶었던 그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그 꿈을 이루게 된 것이다. 그는 “문화 기획자가 꿈인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티셔츠 판매로 진로에 한 발짝 다가갈 수 있었다”라며 성취감을 나타냈다.  덧붙여 “앞으로도 꾸준히 학업과 과외를 병행하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상품을 기획하고 판매해 볼 것”이라며 앞으로의 계획을 말했다. 이처럼 N잡은 대학생들에게도 단순한 아르바이트가 아닌 미래를 위한 또 하나의 자기계발이 되기도 한다.

어쩔 수 없이 선택한 N잡

여전히 생계의 다급함 때문에 여러 가지 일을 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이들은 대부분 ‘오래’ 일할 수 없어  ‘짧게 많이’ 일하는 사람들이다. 다시 말해 한 직장에서 오래 일하지 못해 짧은 단기직을 여러 개 맡아서 일하는 ‘생계형 N잡러’다. 이와 관련해 권오성 성신여대 교수는 ‘N잡러’라는 어휘 속에 개인 스스로가 여러 직업을 수행하는 것을 ‘선택’한 것 같은 뉘앙스가 풍긴다는 점을 꼬집었다. 그는 “여러 가지 일을 하는 사람을 칭하는 학문적 용어 ‘Multi Job Holder’는 불안정노동의 한 유형으로 취급된다”며 “‘N잡러’라는 조어는 그 문제의 본질을 가린다”고 지적했다.

대학생 중에도 생계형 N잡 노동인구가 적지 않다. 지난해 취업포털 알바천국이 대학생 8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이들 중 85%가 등록금이나 월세 등 금전적 이유로 아르바이트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5% 이상이 두 가지 이상의 아르바이트를 병행하고 있었다. 우리대학 이 모 씨(25)도  경제적인 이유로 교내 근로뿐만 아니라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함께 하고 있는 N잡러다. 그는 “주휴수당의 의무화와 최저임금의 인상 때문인지 고용주들이 제시하는 노동 시간이 줄어들면서 월세와 고정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 N잡이 불가피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자기계발을 하면서 돈을 버는 N잡러들이 부럽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은 진로와 연관이 없다”라며 쓴웃음을 지었다.

N잡의 향후 전망

이렇듯 N잡에 대한 엇갈린 시각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여전히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망하는 전문가의 의견이 존재한다. 우리대학 경제학과 송일호 교수는 N잡세대로 일컫는 젊은 세대가 N잡을 가지게 되는 현상을 분석했다. 그는 N잡세대가 ‘문화를 통한 자연스런 인적 네트워킹’으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데에 주목하며 “SNS나 유튜브를 통해 공감대 형성이 쉽게 이뤄지는 젊은 세대는 다양한 문화 활동을 통해 사회적 자본을 발전시킬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송 교수는 “N잡의 역기능도 있을 것이지만 무한한 네트워킹을 구축할 수 있는 젊은 세대가 그 조건과 환경을 현명하게 활용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길 기대한다”며  격려를 덧붙였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