物體(물체)를 構造(구조)하는 要素(요소)를 네 가지로 分類(분류)하는 法(법)이 옛날 印度(인도)에서 行(행)하여지고 있었다.

이 네 가지는 地(지), 水(수), 火(화), 風(풍)을 말하며 四大(사대), 또는 四大種(사대종)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곧, 네 가지 要素(요소)라는 뜻이다.

地(지)라는 것은 단단한 部分(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人體(인체)로 말하면 骨格(골격)과 같은 部分(부분)을 이루며 物體(물체)가 오래 持續(지속)하게 하는 作用(작용)을 한다.

水(수)는 濕氣(습기)의 部分(부분), 卽(즉) 物體(물체)에 포함된 물끼를 말한다. 人體(인체)로 말하면 혈액을 構成(구성)하는데 이것은 物體(물체)가 하나로 뭉쳐지는 作用(작용)을 한다. 萬若(만약)에 物體(물체)에 水分(수분)이 없으면 그 物體(물체)는 흩어져 分散(분산)되고 말 것이다.

火(화)는 熱氣(열기)를 말하는 것으로 人體(인체)의 體溫(체온)과 같은 것이다. 이는 모든 物體(물체)를 成熟(성숙)시키는 作用(작용)을 한다.

風(풍)은 움직이는 것을 말하는데 사람의 運動(운동)과 生長(생장)은 이 風(풍)의 힘으로 되는 것이다. 卽(즉) 이 風(풍)은 生長(생장)하는 作用(작용)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四大(사대)를 내세운 것은 印度(인도)에서 佛敎(불교) 以前(이전)의 學說(학설)로서 그 當時(당시) 二大思潮(이대사조)인 轉變說(전변설)에 對立(대립)한 積취說(적취설)에서 宇宙(우주)의 森羅萬象(삼라만상)은 地(지), 水(수), 火(화), 風(풍)의 네 가지 要素(요소)가 같이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한데서 始作(시작)되었다.

佛敎(불교) 以前(이전)의 印度(인도)의 二大思潮(이대사조)의 하나인 轉變說(전변설)이라는 것은 宇宙(우주)의 森羅萬象(삼라만상)을 構成(구성)하는 하나의 精神的(정신적) 存在(존재)인 梵(범)이라는 것이 있어 그 梵(범)이 이리저리 돌아다니면서 變化(변화)를 이르켜 이 宇宙(우주)가 構成(구성)되었다고 하는 學說(학설)인 것이다.

그러나 佛敎(불교)에서는 이 轉變說(전변설) 대신 地水火風(지수화풍)의 四大要素(사대요소)를 내세우는 積취說(적취설)을 그대로 받아 드렸다. 그리하여 사람은 말 할 것도 없지마는 모-든 物體(물체)도 地水火風(지수화풍)의 四要素(사요소)가 因緣(인연)따라 뭉쳐 이루어진 것인 까닭에, 因緣(인연)이 다되면 다시 地水火風(지수화풍)의 本來(본래)의 要素(요소)로 되돌아가는 것이니 現實(현실)의 여러 모양에 對(대)해서 아무런 愛着(애착)을 가질 것이 아니라는 無常(무상)을 말하는데에 引用(인용)되고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