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에 총장직선제를 향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작년 말부터 시작된 총장직선제에 대한 논의는 현재 여러 대학에서 그 결실을 보고 있다. 다수의 국·공립 대학이 총장 선출 방식을 직접선거로 전환했으며, 사립대의 변화도 눈에 띈다. 총장직선제의 바람을 불러온 이화여자대학교를 시작으로 여러 대학에서 선거 방식을 직선제로 전환했거나, 논의 중이다.
우리대학 또한 총장직선제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고 있다. 9월 ‘총장직선제와 대학의 민주적 거버넌스를 위한 대토론회’가 진행된 것에 이어 지난 28일, ‘총장직선제를 위한 4자 협의체 회의’가 진행됐다.
이번 회의에는 교수협의회 회장과 부회장, 노조위원장, 제49대 총학생회장과 제50대 총학생회장 당선자 등이 참여했으며,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 반영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는 것에 의견을 모았다. 우리대학의 건전사학지수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사학혁신위원회 발족에 대한 논의 또한 이뤄졌다. 사학혁신위원회를발족할 경우, 협의체는 소위원회 형식으로 논의를 진행하게 되며 해당 내용에 대한 의결은 본 위원회에서 받아 재단에 요구하게 된다.
이에 김정민(경영14) 총학생회장은 “이번 회의는 각자의 의견과 상황을 공유하고 방향을 정하는 기본 회의였지만, 상황 개선의 희망을 확인할 기회였다”며 “설문조사나 그 외 다른 활동을 활발하게 하면서 학생들의 의견이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민주적으로 학내 구성원의 목소리가 반영돼야 한다는 의견이 동의를 얻음으로써 우리대학 또한 총장직선제에 한 걸음 가까워졌다. 하지만 총장 선거가 당장 내년으로 다가온 만큼 직선제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제대로 준비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이미 몇몇 대학이 총장직선제를 두고 교직원들과 교수회, 총학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난항을 겪기도 했다. 바로 참여 비율을 두고 충돌을 빚은 것이다. 국립 한국교통대학교의 경우, 참여 비율이 쟁점이 돼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여타 국립대학의 평균 비율을 따르게 되면 교수 외 직원의 참여비율이 10% 수준에 머물게 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수평의회 의장은 한 토론회에서 인지도 높은 후보에게 표가 쏠리는 현상이 일거나, 민원성 공약이 남발하는 등의 시행착오를 겪기도 했다고 전했다.
총장직선제로 가는 길이 쉽지만은 않다. 일각의 우려처럼 공약 남발, 선거 과열, 학내 구성원 간의 갈등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럼에도 학내 구성원들은 ‘모두의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소통할 수 있는’ 총장을 필요로 한다.
갈등을 최소화하고 총장직선제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그 이전에 학내 구성원 간의 소통과 합의가 필수적이다. 이번에 진행된 ‘총장직선제를 위한 4자 협의체 회의’는 그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총장직선제를 향한 우리의 목소리를 더욱 높이고, 내년 선거에서 총장직선제라는 결실을 보기 위해서는 학교를 이끌어갈 구성원들의 노력이 계속돼야 한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