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문헌의 정본화와 확장성’을 주제로

우리대학 불교학술원 ABC사업단과 불교문화연구원 HK사업단·토대연구사업팀은 오는 10월 19일(목), 20일(금) 양일간 우리대학 혜화관 고순청세미나실에서 ‘한국불교 문헌의 정본화와 확장성’을 주제로 2017 추계 국제학술대회를 공동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 고대 및 중세 불교 문헌의 국제적 전승 과정 및 향후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기획됐다.

학술대회 첫째 날은 ABC사업단이 주관으로 원효 스님 탄신 1400주년 기념 ‘원효 찬술 문헌의 전승과 정본화’를 주제로 학술회의가 진행된다. 원효 스님의 저술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동아시아 불교계에 널리 큰 영향을 미쳤지만, 그동안 제대로 전승되지 못했다. 현재 확인되는 원효 스님의 저술들은 외국, 특히 일본 불교계에서 전래되다가 근대에 이르러 재발견됐다. 원효 스님의 저술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처럼 일본 불교계에 전해진 문헌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전래, 유통되었으며,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게 되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첫 발표자인 김천학 우리대학 HK교수는 ‘기신론소·별기’의 전승과 정본화를 통해 원효 저술의 한·중·일에서의 유통과정과 함께 ‘별기’ 일부의 정본화를 시도할 예정이다. 이어 도요대학의 아타고 구니야스 연구원이 ‘무량수경종요’가 일본에서 평가되는 양상들을 분석한다. 미노부산대학 김병곤 교수는 ‘보살계본지범요기’의 사본과 판본의 비교를 통해 일본에 미친 영향을 밝힌다. 동국대 불교학술원 한명숙 교수는 ‘금광명경소’ 집일본의 재검토를 통해 그간의 연구에 대해서 미비점을 지적하고 보충할 것이다. 게이오대학의 오카모토 잇페이선생은 ‘대혜도경종요’의 4종류의 텍스트를 대교 하여 정본화를 시도한다. 김영석 연구초빙 교수는 일본에서 새로 발굴해 촬영한 ‘판비량론’에 대한 조사 경위와 함께 내용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대학 최연식 교수가 종합토론을 진행하여 원효 연구의 의의를 토의할 예정이다.

둘째 날은 불교문화연구원 HK사업단과 토대연구지원팀이 ‘한국 불교 문헌의 확장성과 디지털지형도’를 주제로 학술회의를 진행한다. 먼저 스에키 후미히코 전 동경대 교수가 ‘동아시아 불교와 동아시아 주연불교’를 주제로 기조 강연을 한다. 기조 강연에서는 동아시아 불교의 흐름을 ‘석마하연론’의 유통을 중심으로 밝힐 예정이다. 도요대 기츠카와 도모아키 교수는 원측스님의 ‘성유식론소’가 일본에서 전승되는 과정을 밝힌다. 류코쿠대 오타니 유카 교수는 태현스님의 ‘범망경고적기’가 일본에서 전승되고 주석서를 통해 확장되는 상황을 밝힌다. 토대연구사업팀의 김천학 교수와 박보람 교수가 한국 찬술 불교 문헌의 확장성의 의미를 소개하며 디지털 지형도를 시연한다. 교토부립대 요코우치 히리토 교수는 일본과 고려의 불교 교류사의 의미를 밝힐 예정이다. 중국 산동대학의 리하이타오 교수는 금릉각경처에서 간행된 한국불교 문헌의 유통에 대해서 고증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하나조노대학의 모로시게키 교수가 불교 문헌학과 디지털 인문학의 향후의 방향성을 제기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불교 문헌학은 해당 문헌의 내용 이해에만 주로 관심을 쏟았지만 앞으로는 보다 확대된 시각에서 고대 불교 문헌의 지식체계가 주변 국가들과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결과적으로 당시 동아시아 불교 세계에 어떠한 지식체계와 지식네트워크가 형성되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본 학술대회의 의미가 있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