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진(국문89졸) YTN 기자

50∼69세까지의 고령자를 흔히 50·60세대로 일컫는다. 그 수는 약 1,340만 명. 전체 생산 가능 인구의 31% 정도 된다. 대부분 은퇴한 사람들이다. 정부는 이들을 ‘신중년’으로 규정했다. 사회활동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나이로 보는 것이다. 기대수명이 늘어난 게 배경이다. 

일자리위원회는 ‘신중년 인생 3모작 기반 구축 계획’이란 취업과 창업 대책을 내놨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렇다. 50세 전후에 직장에서 퇴직하면 재취업과 창업, 귀농·귀촌으로 두 번째 인생을 살고, 연금을 받는 61∼65세에는 사회공헌형 일자리를 찾도록 도와준다고 한다. 
그러면 기왕에 시작한 이 정책을 ‘고독사’ 문제와 연계해 교집합을 만들어 내는 건 어떨까?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살다 쓸쓸히 죽음을 맞이하는 고독사.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지난해 1,200명을 넘어서는 등 최근 5년 사이 급증세를 보인다. 고독사는 정확한 통계가 없어 정부와 지자체가 무연고사망자로 분류해 실제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부산에서 45일 동안 17명이 숨진 것만 봐도 문제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나 홀로 죽음’을 맞는 사람은 70대 이상 노인들도 많지만, 정부가 신중년으로 규정한 50~60대가 주를 이룬다. 이혼 등의 사정으로 삶의 최후 보루라 할 수 있는 가정이 해체돼 삶의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로 대부분 지병을 앓고 있다. 
이런 고독사 고위험군을 신중년 일자리정책을 통해 끌어안아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가 우선 고독사 개념부터 정립한 뒤 지자체와 유기적으로 협조해야 한다. 정확한 실태 파악을 통해 고독사의 위험에 처한 사람들이 단절된 삶에서 탈피해 다양한 지역 커뮤니티나 공동체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경제적 문제와 함께 질병 등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고독사 예방에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전국의 1인 가구 수는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527만 9천 가구. 이들 가운데는 고독사 우려가 높은 50·60 세대 이상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거창한 정책보다 이웃의 따뜻한 관심이 어쩌면 최선의 고독사 대책이 될 수도 있다. 안부 인사와 전화 한 통이 외롭게 살아가는 우리 이웃을 살리는 생명수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주위를 한 번 둘러보자.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