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원 기자

작년 ‘최순실 게이트’의 중심에 있던 이화여자대학교(이하 이대)는 최근 새로운 총장 선거에 ‘총장 직선제’를 도입해 총장을 선출했다.

이 제도는 기존 이사회 내부에서 총장추천위원회의 표결을 통해 총장을 선출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교수, 직원, 동창 그리고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의 참여로 총장을 직접 선출하는 제도다. 유권자가 정책토론회를 통해 각 후보의 공약을 토대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다. 투표 반영 비율의 차이가 있었다는 논란이 있었으나 교내 구성원 모두의 참여를 통해 학교를 대표하는 총장을 선출했다는 점에 있어 민주적이며, 그 의미 또한 크다.

현재 각 대학가에서는 학생들이 교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퍼지고 있다. 학생들과 학교 측의 갈등이 부족한 학생들의 참여로부터 비롯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우리대학의 경우도 학생들과 학교 측 간의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다는 지적을 받는다. 학생들의 의견이 충분히 수렴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

재작년에는 총장 후보자들이 돌연 사퇴 선언을 하며 정황상 조계종의 외압이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학내에 떠돌았다. 이 문제로 학생과 학교 측 간의 갈등이 빚어졌고 당시 사태에 대한 양측 입장차이는 좁혀지지 않았다.

학교에 대한 학생들의 불신이 최고조에 달했던 작년 3월 학보사 기자 생활을 시작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1년 반이라는 시간이 지났음에도 근본적으로 해결된 것은 없다.

학교와 학생들 간의 소통이 단절된 채로 대치만 하다 보니 자연스레 학생들의 관심은 줄었다. 현재는 미동추(미래를여는동국추진위원회)만이 간간히 투쟁을 이어가고 있을 뿐이다.

물리적으로 모든 사안마다 학생들의 참여를 확대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학생들의 목소리가 원천적으로 배제돼선 안 된다. 결국 본질인 ‘제도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선 소모적인 상황만 되풀이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이대는 총장 직선제를 기점으로 민주적인 대학사회로의 첫걸음을 내디뎠다. 그들이 직선제를 계기로 학생참여를 확대했 듯, 우리대학도 학생들의 참여를 확대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걸을 수 있어야 뛸 수 있듯 말이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