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촛불시위 현장을 보면서 1980년대의 화염병이 난무하던 시위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당시 우리나라는 국가니 계급이니 하는 대서사의 시대였고 정권은 국민에 의해 선출된 것이 아니라 주권자의 권리를 짓밟고 권력을 찬탈한 집단이었다. 물리력으로밖에 정권을 유지할 수 없었던 그들은 헌법에서 보장된 집회와 시위의 자유를 허락하지 않았다. 당시 대학생들은 어느 시인의 노래처럼 ‘새벽 뒷골목에 남몰래 타는 목마름으로 민주주의여 만세라고 써야 했던 시절’에 돌과 화염병을 던졌던 것이다.
이제는 시대와 조건이 많이 달라졌다. 한 나라의 통치자는 그 나라 국민의 수준과 민의를 반영한다는 말이 있다. 현 정부의 무능과 부정의는 바로 우리 사회의 적나라한 모습이자 수준이 아닐 수 없다. 1980년대 외재적인 적으로 간주되던 당시의 권력과 달리 이 정권은 거울에 비친 우리의 모습이니 스스로 부끄러워해야 할 내재적 모습이기도 하다.
하지만 촛불시위에서 시민이 부끄러워만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흥미롭고 멋진 지점이다. 적나라한 치부를 놀이의 소재로 삼아 SNS로 인증샷을 올리고 그곳의 현장성을 바깥세상으로 확산£전파시키며 즐긴다. 1980년대 시위 현장의 엄숙함은 없지만, 이미 바리케이트 없는 세상의 소통을 보여주고 있다. 동지애보다는 계급과 성, 세대의 차이를 넘어서는 연대감으로 국가권력의 무능과 부정의로 초래된 시민들의 부끄러움을 서로 위로하는 시위 현장을 만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1980년대 바리케이트 너머로 던져진 돌과 화염병은 바깥으로 내보낼 수 있는 유일한 메시지이기도 했다. 하지만 아무에게도 도달하지 않는 메아리인 경우가 허다했다. 이제 시민들은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조롱하며 희화화하는 기지와 재기발랄함으로 권력에 반격을 가한다. 
대의민주주의도 과거와는 달라질 것이다. 공감과 소통의 시대에 100만 이상의 시민이 만들어낸 광장에서 경험한 민주주의는 분명 새로운 시대, 체제를 만들어가는 중요한 경험이 될 것이다. 
폭력적 전시(展示)가 없는 가운데,  많은 사람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며 혼자 왔어도 혼자가 아닌 공감과 소통의 광장에서, 소수자와 약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시민들의 인권 감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