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과 같은 시위방식을 찬성한다.
우리는 4.19 항쟁부터 5.18 민주항쟁, 87년 6월 민주항쟁까지 수많은 민주화 시위를 통해 여기까지 왔다. 그리고 그만큼 민주주의와 시민의식이 성장했다. 이제는 평화적 시위로도 충분히 국민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다. 문제는 이 민의를 정치하는 사람들이 반영해서, 국가 의제로 상정하고 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지금 해외언론들도 우리 국민들이 벌이는 평화적 시위에 대해 감탄하고 있다. 이렇게나 성숙한 시민의식을 가진 나라가 또 있을까? 
만약 더 적극적인 시위가 있어야 한다면,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헌법에 명시되어 있는 시민 불복종 운동과 같은 것 말이다. 과도한 물리력은 또 다른 폭력사태를 낳게 되고, 양측의 감정의 골만 깊어질 것이다.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는 말이 있다. 폭력은 그 어떤 것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물론, 폭력시위가 효과 면에서는 훨씬 클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국민이 원하고, 시대가 원하는 집회는 폭력을 수반한 시위가 아니다. 평화적 시위로도 충분히 우리의 의견을 반영하고, 성숙한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대다수의 국민들도 공감할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SNS와 개인 미디어 등을 활용한 시민저항은 또 다른 평화시위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생각한다. 대한민국은 21세기 IT, 정보화 강국이다. 그렇기에 속도나 영향 면에서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 

 

이번 촛불 시위를 무기력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다만 ‘폭력에 대한 결벽증적 거부’가 우려된다. 
혹여 비폭력 시위로 박근혜 정권이 퇴진했을 때, 전 국민이 비폭력에 대한 환상에 빠져버리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든다. 그렇게 되면 앞으로 민중의 투쟁에서 발생하는 어떠한 폭력을 두고, “비폭력으로 대통령도 퇴진시켰는데 왜 저래?”와 같은 생각으로 비판할 가능성이 있다. 
평화시위 분위기를 과연 시민들이 주도했는가 아니면 언론이 주도했는가에 대해서도 고민해 봐야 한다. 보수 언론에서 그토록 평화시위를 찬양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기득권은 대통령이 퇴진하더라도, 앞으로 민중의 투쟁을 ‘폭력 투쟁’이라는 프레임에 가두는데 ‘박근혜 퇴진 시위’를 사례로 들 것이다. 
 단순하게 집회에서 요구조건을 들어주지 않으면 폭력을 행사하자라는 말이 아니다. 시위 때, 경찰이 자의적인 해석으로 시위대를 막는 경우가 많다. 
대치 과정에서 경찰에 의해 상해를 입기도 하는데 법이 보호해 주지 않는다면 국민은 스스로를 보호해야 한다. 그렇기에 시위대가 경찰을 밀어내는 정도는 할 수 있다고 본다. 정도의 차이가 분명 있다. 하지만 언론에서는 적극적으로 시위하자는 사람들을 불 지르고 쇠파이프를 들자는 사람으로 매도하고 있다. 
폭력시위는 최후의 수단으로서 정당하다고 생각한다. 무조건적으로 폭력을 거부하는 집단과는 우선적으로 토론이 필요하다고 본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