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교육부가 ‘대학 내 건전한 집단활동 운영 대책’을 발표하고, 각 대학에 학칙 개정을 통한 인권침해 행위 처벌을 유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학내 행사에서 인권침해가 발생할 경우, 가해자를 비롯해 행사 책임자로 지정된 학생과 담당 교수까지 연대책임을 묻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학내 집단활동을 진행함에 있어 책임자가 지정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해도 처리가 어려운데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아 내린 결정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학생들은 “학생들의 문제는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며 학생사회를 위축시킬 것이라고 비판했다. 공권력을 이용해 언제 발생할지도 모르는 문제에 대해 책임을 지우는 것은 무리한 방침이라는 것이다.
물론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반론에 어느 정도 일리는 있다. 여러 비판의 소지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는 터무니없는 방침이라고 외치기 전에 스스로를 돌아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알아서’ 하라고 자율에 맡기기엔 학생들 사이에서 자행되는 문제가 매년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그간 ‘오물 막걸리 세례’를 비롯한 성추행, 폭행 사건이 연루된 대학 행사의 모습을 자주 접해왔다. OT, MT뿐 아니라 대학 축제에서 벌어지는 낯 뜨거운 표현방식이 비판받는 것 역시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도를 넘어선 호객행위와 선정성 문제는 축제 시즌마다 끊이지 않는다.
올해 역시 마찬가지였다. 자극적인 의상 컨셉과 합석을 무기로 내세워 “예쁜(잘생긴) 사람과 합석시켜주겠다”고 홍보하는 방식은 작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한 단과대는 ‘우리, 같이 작업할래?’라는 문구와 함께 학과 여학생들의 사진을 합석 주점 홍보에 활용했다. 호의적인 반응도 있었지만 일부는 불편하다는 의견을 전했다. 한 여학생은 “여성을 마치 상품처럼 내세워 보기 언짢았다”고 말했다. 일부 주점에서 발생하는 합석 강요로 인한 실랑이 역시 존재했다. 선배의 권위를 내세워 행사 참여를 강요한 학과도 있었다.
이는 행사 기획 때부터 인권침해 발생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다는 것을 드러내는 단편적인 모습이다. 매년 재발하는 인권침해 문제에 대해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으려는 노력 역시 부족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현재 학생들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자성의 태도다. 언제까지 지켜봐 달라고만 할 것인가. 이제는 말보다 행동으로 보여야 할 차례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