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사회가 과거에는 한 가지 잣대만을 놓고 학생들을 평가해왔다면 최근엔 다양한 기준들을 내세워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융합형 인재들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런 모습들은 우리대학 내의 성적장학제도에도 찾아볼 수 있다.
2013년 이전에는 오로지 성적을 100% 반영하여 성적 장학생을 선발했지만 ‘역량강화장학’이 생겨나면서부터 성적 외 다른 요소들을 추가하여 선발한다.
학과행사참여도, 상담, 봉사활동, 외국어능력이 등이 추가요소이다. 학업능력이라는 획일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잠재력을 우선시하는 사회적 흐름이 장학제도에도 녹아든 것이다.
학생처 백승규 팀장은 “성적 외 다른 기준을 보는 것은 사회변화에 맞춘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라며 “요즘 학과 행사나 영어 공부를 소홀히 하는 학생들 때문에 최소한의 안전장치로, 장학 살 붙이기를 통해 역량강화를 유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오히려학생들의 불만을 야기했다. 실제로 가정교육과 A학생은 4.5만점이라는 성적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성적장학금을 받지 못했다. 가정교육과는 성적 90%, 외국어능력 10%를 반영한다.
성적이 평가에 90%를 차지하지만 변별력이 없어 10%의 외국어능력으로 수석이 결정된 것이다. 행정학과 B학생 역시 같은 이유로 수석임에도 장학금을 받지 못했다.
사회요구에 맞춰 여러 요소를 평가에 적용시켜 장학생을 선발한다는 말은 분명 일리가 있다. 그러나 10~20%의 낮은 비율을 차지하는 ‘외국어 능력’ 기준이 이보다 더 큰 반영비율을 차지하는 ‘성적’ 기준보다 결정적인 평가요소로 작용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성적뿐 아니라 다른 요소들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차원에서 넣은 기준들이 오히려 객이 아닌 주가 되어 장학생을 판가름하니 이는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성적장학금에서 주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성적의 요소가 보완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교양과목을 제외한 전공과목 평균 평점이 더 높은 학생에서 가중치를 부여한다거나 수강한 전공과목 수가 더 많은 학생에게 가중치를 부여하는 등 성적기준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는 바이다.
따라서 성적이 우수한 학생에게 수여한다는 성적장학금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장학생을 선발해야한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