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사, 커피타기, 청소 등 단순업무만 반복 … 실제 취업에 도움 될지는 미지수

 
[Cover Story ]  현장실습, 무엇이 문제인가

청년 실업률이 10%를 넘어섰다. 또한 지난 7월 실업자 가운데 6개월 이상 구직활동을 했지만 취직을 못 한 장기 실업자가 12만 1000명으로 2002년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월간 기준으로 보면 2002년 12월 이후 우리나라 청년 10명 중 1명은 취업을 하지 못한 채 구직활동 중이다. 취업의 문은 좁아지고 경쟁은 심화되는 가운데 요즘 청년들을 빗대어 ‘삼포 세대’라는 신조어까지 생겼다.
삼포 세대란 취업을 하지 못해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세대를 일컫는 말이다. 취업대란 속에서 현장실습은 기업에서 실무 경험을 할 수 있어 많은 학생이 지원하고 있고 일종의 스펙으로 취급받는다. 하지만 취업을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해야 할 현장실습제도는 열정페이, 단순 업무 반복 등 실습생들에게 또 다른 고민을 안겨주었다. 

월 평균 급여 67만 원에 그쳐

얼마 전 현장실습을 마친 A씨는 정직원과 동일한 업무시간을 소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습생이라는 이유로 월평균 30만 원 남짓의 급여를 받았었다. 세대별 노동조합인 청년유니온에서 인턴, 현장실습을 경험한 23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실습생들은 주 5일, 하루 평균 8.8시간의 근무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생들은 정직원에 준하는 시간동안 근무하지만 평균 급여는 월 66.7만 원에 그치는 것이다.
청년기업가센터에 올라온 모집공고를 정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대학과 산학협력을 맺은 기업은 하루 평균 근무시간이 약 9시간이며 월평균 24.8만원의 월급을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별도로 우리대학은 LINC사업단에서 산학협력사업을 관리하며 소속 학과의 현장실습생들에게 지원금도 지급하고 있다.
이러한 임금문제가 논란이 되자 교육부는 최저임금을 적용하라는 내용을 담은 현장실습매뉴얼을 개정하고 공청회를 열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최저임금의 적용 가능성 등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기업 과반수가 교육프로그램 부재

기업과 학교가 연계하는 산학협력 현장실습의 경우 대부분 단기현장실습으로 이루어져있는데, 학생들이 주로 방학에 지원하기 때문이다.
단기 현장실습을 수행하는 학생들은 4주에서 8주 사이의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기업에 나가 경험을 쌓고 학점을 받는다. 청년기업가센터장 전병훈 교수는 “실습생이 4주라는 짧은 시간 동안 회사에 기여를 하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라며 실질적인 업무를 배우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기업에서 실습생들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청년유니온은 “교육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 기업의 비율은 34.3%로 기업 대부분이 실습생에 대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실습생들은 멘토의 지도능력에 따라 실무적 교육을 받을 기회가 결정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습생들은 현장실습을 마칠 때까지 제대로 된 실무 교육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실습생 보호해줄 제도 부족

가장 큰 문제는 실습을 하며 겪는 부당한 대우를 개선해줄 제도적 기반이 없는 것이다. 우리대학은 담당교수를 정해 중간관리를 하지만 학생 수가 1천여 명 정도로 되다 보니 완벽한 관리는 어렵다. 이런 상황은 교육부도 마찬가지다. 교육부의 윤정현 사무관은 “다른 정부 부처들과의 협력 없이 교육부가 독자적으로 학생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만드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라며 한계점을 지적했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4년제 대학 10곳을 선정해 ‘대학형 일학습병행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대학형 일학습병행제는 대학 교육 과정의 1년 이상을 산업현장 실무경험을 통해 이수하도록 한 장기현장실습제(IPP)를 확대한 것이다. 이 외에도 LINC산업에 2583억의 예산을 배정하는 등 현장실습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실습 제도는 여전히 체계적인 교육 부재와 임금 문제 등을 안고 있다. 취업에 도움이 돼야 하는 현장실습이 실습생들을 낙담하게 만들고 있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