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와 신문에 대학가 소식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요즘이다. 그 종류도 다양하다. 학과 구조조정으로 인한 갈등, 이사장 및 총장 비리와 그 수사 등 대학의 자본화와 윤리의식 부재에 따른 문제들이 여과 없이 드러나고 있다. ‘학문의 전당이자 배움의 터’라는 대학에 대한 상식조차 무색하게 만드는 사건들이다.
이처럼 한국 대학 사회는 복합적인 위기를 맞고 있다. 이를 타개하고자 지난 20일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이하 민교협)는 ‘벼랑 끝의 대학 : 대학 자율성을 위한 싸움’이라는 토론회를 열었다. 우리대학을 비롯해 서울대ㆍ중앙대ㆍ상지대ㆍ경북대ㆍ한국방송통신대 등의 교수 및 학생 대표들이 참석해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당일 회의에서 모든 참가자는 문제 해결을 위해 교ㆍ직원들과 학생, 그리고 시민들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 구체적인 실천 방향이 논의되지 않은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물론 이번 토론회는 현황에 대한 공론장이 처음으로 마련됐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는 법이다. 그러나 민교협이나 전국교수노동조합 측은 차후 이뤄질 토론회나 행사 등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된 것이 없다”는 답변을 남겼다.
학기가 마무리돼가는 시점이다. 학생들은 곧 다가올 기말고사에 매진할 것이다. 이어 방학이 시작되면 학내 구성원들의 관심은 지금보다 더 줄어들게 돼 있다. 문제의식마저 흐지부지될 가능성도 있다.
행동으로 직접 이어지는 ‘연대’가 시급해 보인다. 가장 중요한 것은 끊임없는 공론장 형성이다. 각기 다른 입장들의 난상 토론을 통해 협의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대학사회 전체를 포괄하는 통합 비대위를 구축하는 것도 방법이다.
대학이 자체적으로 결정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를 어째서 타 대학교수나 학생이 관여해야 하는가에 대한 비판이 나올 수도 있다. 그러나 대학은 국가의 최고 교육기관으로 국가 존립에 있어 중대한 씽크탱크다. 때문에 대학의 위기는 곧 국가의 위기다. 작금은 소위 ‘지식인’들이 함께 한국 사회에서 대학이 어떤 위상을 가지고 있는지를 재고하고 끊임없이 성찰해야 하는 시기인 것이다.
말보다 행동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할 때다. 보다 현실적인 대응책을 마련하는 다음 발걸음이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