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학문ㆍ연구 윤리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지난 6일 언론을 통해 보도된 서울대 집단 시험 부정행위 사건은 충격적이었다. 서울대의 한 교양 과목 중간고사에서 학생들이 서로 답을 보여주거나 휴대폰을 보며 답을 작성하는 등의 부정행위를 집단으로 저지른 것이다. 거기에 해당 강사가 “부정행위를 저지른 학생만을 대상으로 재시험을 치르겠다”고 밝혀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논란도 일었다.
또 다른 전공 수업에서는 이의제기 기간 동안 학생들이 답안지를 수정해 제출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의제기 기간에는 학생들이 답안지를 돌려받고 채점된 점수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틀린 답을 수정해 제출했다. 시험 부정행위를 넘어 시험 점수 조작까지 저지른 것이다. 국내 최고 대학이라 칭해지는 서울대의 시험 부정행위들은 대학들의 학문 윤리가 땅에 떨어져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우리대학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당장 지난 학기에 모의토익과 기말고사 대리 시험을 친 사실이 발각돼 의뢰자와 응시자 모두 무기정학이라는 중징계를 받은 바 있다. 작년 총학생회 선거에는 부총학생회장 후보가 선거운동 기간 중 시험 부정행위를 저질렀다는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되기도 했다.
학문 윤리의 문제는 비단 학생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교육부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조사한 ‘전국 4년제 대학 연구 윤리 위반 실태 및 후속 조치’에 따르면, 매년 평균 20여 건의 연구 부정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한 후속 조치 역시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다수의 사립대들이 교수가 스스로 사직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논문 철회 등의 대응만을 하고 있다. 또한 연구 부정을 발견하고도 교육부에 보고조차 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대학의 본질은 교육기관이고, 수학(修學)과 연구는 학내 구성원들의 최우선 과제다. 이를 위한 학문 윤리 역시 무엇보다 우선시 돼야 한다. 이에 따라 모든 시험ㆍ연구 부정행위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강력한 규제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학문 윤리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의식 재고를 위해 교수ㆍ학생 간의 공론장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