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 안 맞는 신품종 무리한 확대는 삼가야

“추곡수매정맥 일관성 아쉬워”

 
  눈부신 경제성장과 머물러 꾸준한 식량중산을 해 온 우리나라는 1970년대의 새마을 운동으로 더욱 박차를 가하여 1976~1977년에 걸쳐 사상 유래 없는 대풍을 이루어서 식량의 자급자족을 달성했다고 정부에서 발표한 바 있다.
  1978년의 노풍피해, 1979년의 평년작, 올해에는 평년작에 못 미치는 수확을 예상하고 있다. 그 이유가 어디에 있는 것인가? 또한 정부측의 적극적인 지원도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대체로 통일벼의 재배로 인한 비료의 과용으로 토양의 산성화를 초래했음과 동시에 지역에 맞지도 않고 시험재배기간도 짧은 신품종의 무리한 재배확대로 인한 행정상의 착오로 보겠다.
  따라서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신품종 재배확대와 식량증산 정책은 그 병행에 있어서 ‘무리’가 있지 않나 한다. 80년도 미곡생산에 있어서 재래품종인 일반벼 아끼바레와 신품종인 밀양계통파의 수확량의 차이에 있어서 과거 4~5년 전에는 평균적으로는 분명히 통일계 품종이 1.5~2배의 생산량을 거두었지만 현재는 재래품종인 일반벼 아끼바레 수확에 못 미치고 있다.
  해묵은 이야기지만 77년도 당시 대풍을 이루어 수매한 쌀을 정부측에서 보관할 길이 없어 명목상 쌀이 남아서 쌀막걸리를 시판하고 혼식장려를 없앤 것은 정책상 어쩔 수 없는 것이지만, 좀 더 현명하고 군비성을 갖추었더라면 마을 창고 등을 세워 보관상에 차질이 없게 하여 유사시 즉 78년과 같은 노풍 피해 때 어느 정도 메워 나가지 않았겠는가 하는 결과론이다. 앞으로도 마찬가지로 식량증산과 아울러 산위창고의 건립도 매우 바람직한 것이라 지적하고 싶다. 아무튼 농민의 이익을 위한 최소한의 정책을 펴서 농민 복지에 힘을 기울여야 하겠다. 농민의 권익을 보호하지 않는 농사행정이 있어선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