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6회 교육문제 심포지엄


  古典(고전) 隨筆敎育(수필교육)의 問題點(문제점)
  李丙疇(이병주) <동국대> 
이병주 교수는 “수필은 삶의 보람을 밝힌 울림장이다. 그러나 고전에서의 수필은 그 문학적 장르를 떠나 형식보다도 내용을 따져 인생과 문학, 문학과 사회의 함수를 가볍게 헤아린 수록을 말한다”고 전제한 다음 한문학 작품을 제외한 한글문학을 중심으로 그 교육적인 문제점과 타개책에 대해 발표했다.
  散文(산문)의 始用(시용)과 釋譜詳節(석보상절)
  <훈민정음> 창제로 國漢混用(국한혼용)에 의한 散文(산문)의 始用(시용)은 결국 正音(정음)의 보급을 꾀했다. <釋譜詳節(석보상절)>은 비록 古語(고어)가 뒤섞이고 복합어와 轉化(전화)의 말씨가 눈에 설기기는 해도 읽을수록 엄전한 맛이 감돌아 고전수필의 본이다. 그러므로 우리 고전수필의 재평가를 위해 종교를 떠나 널리 읽혀야 한다.
  歌辭(가사)와 小說(소설)과 수필
  가사는 우선 알기 쉽고 부르기 좋고 듣기 좋게 장단에 맞추는 동시에 음수율로써 그 보람을 세운 노래다. 따라서 산문적인 어사만 덧붙이면 훌륭한 수필이기에 가사와 수필은 비근하다. 가사는 伶妓(영기)로 하여금 부르게 하는 반면 수필은 혼자 읽는 점이 다를  뿐이다. <춘향전> 과 같은 소설이나 <양반전> <호질> 따위의 한문소설 역시 그것이 허구성 때문이지 다분히 수필적이다.
  內簡體(내간체)와 隨筆文學(수필문학)
  내간체는 心像(심상)의 美化(미화)와 語聲(어성)의 權化(권화)인 시가에 못지않게 우아한 말결로 다듬어진 독특한 女流文體(여류문체)다.
  고전수필의 교육은 고뇌의 印痕(인흔)을 들추기 보다는 忍從(인종)의 미덕을 살려 同等(동등)의 밀물에 대처하는 오롯한 거울로 삼게 인도하는 길잡이로의 구실 함양이 우선이다. 내방가사는 4 • 4調(조) 형식의 가사지만 거의가 버림받은 삶의 獨白(독백)인데 거기에 담겨진 소재는 사사로운 情端(정단)을 거침없이 실토해 부른 수필이랄 수 있다.
  이병주 교수는 이와 같이 열거하고 고전수필의 교육은 그 시대적 산물의 중요성에 중점을 두어 문학성을 강조함에 치중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世宗(세종)과 世祖(세조)의 번역문학 육성이 穆陵盛世(목릉성세)의 開花(개화)로 말미암아 위축되고 다시 兩亂(양란)으로 인한 재건이 한문학에 치중되니 實事求是(실사구시)로 불붙기 시작한 평민문학이 빚을 보지 못하다가 한말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특수층의 독점인 한문학이 국한문으로 바뀌자 대중은 위한 번역문학의 끈질긴 시도가 비로소 제자리를 찾았으므로 고전수필교육은 세종의 人人易習(인인역습)과 便於日用(변어일용)의 자주와 민주의 실용이 이어진 피어린 얼룩이라는 사실을 인식시킴이 선결이라 했다.

  고등학교 古小說(고소설) 교육의 문제점
  印權煥(인권환) (고려대)
  이어 발표한 高麗大(고려대) 인권한 교수는 고전문학의 대체적인 교육목표는 첫째, 국문학에 대한 이해의 심화 둘째, 선인들의 문학세계에 대한 바른 파악인데, 이는 교육대상 작품의 형성과 발달과정, 배경과 구조 이해와 감상, 작가의 의식과 세계관, 문학사적 위치 비교와 차이점, 오락적 • 교훈적 의미, 조상들의 삶과 의지 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고등학교 古典敎材(고전교재)의 실태
  古小說(고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봤을 때 (국정교과서, 검인정 교과서) 일반 한글 소설이 6종 6회, 한문소설 금오신화의 작품이 2종 3회, 연암소설이 2종 3회, 낙선재본소설이 1종 1회, 궁중서사문학이 2종 3회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古小說(고소설) 교육의 문제점
  위의 문제에서 인권한 교수는 현행 고등학교 고소설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검토, 교재의 실태를 다각도로 살펴본 다음, 다음과 같은 문제와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첫째, 교육의 목표와 이의 수단인 교재가 일치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알맞은 목표 설정과 상응하는 교재내용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문학사의 흐름과 발달과정의 이해가 부족하다. 그러므로 문학사의 시대구분에 따라 그 시대의 문학사적 해설이 수록돼야 한다. 셋째, 고전문학사의 흐름 속에 소설의 시대적 변천에 따라 작품을 배열하는데 있어 대부분의 교재가 조선 전기를 공백으로 두고 있다. 약 150년간의 소설사적 공백이 메워져야 한다. 넷째, 수록된 작품이 유명작품에 편중되어 있다. 다섯째, 국정교과서의 古小說(고소설)은 모두 현대 철자법으로 고쳐있는데, 원형에 충실하고 고전다운 느낌을 주기위해 원문대로 수록해야 한다. 여섯째, 국문학 전반에 있어 한문학에 대한 비중이 매우 작아 보완이 필요하다. 일곱째, 작품인용이 짧아 이해에 문제가 있다. 여덟째, 고전작품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학습적 방안이 다양하게 연구돼야 한다.

  古典詩歌(고전시가) 교육의 問題點(문제점)과 그 대책
  林基中(임기중) <경기대>
  임기중 교수는 국어과 교육과정이 해방 후 4번 개편했는데 개편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는 종전보다 얼마나 더 문학교육에 역점을 두었는가? 교육과정 개편의 주요 요인이 되는 것은 ①사회학적 요청 ②교육사조의 변천 ③학문연구의 진보에 있다고 보고 개편된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는 종전보다 얼마나 진보된 학문연구 실적이 반영되었는가? 의 두 가지 관점에서 발표를 했다. 내용의 일부를 보면-
  고전시가 교육의 기본방향
  고전시가 교육의 기본방향은 고전시가를 통해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그것을 붙잡는 힘과 그 느낌을 통해 무한한 상상력을 기르는 힘을 육성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첫째, 詩(시)는 말과 글에 의한 이미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이다. 둘째, 詩(시)는 직접 가르치고 직접 배울 수가 없어서 항상 지도방법 그 자체가 중요한 과제이다. 셋째, 詩(시)는 느낌을 통해서 무한한 상상력을 기르는데 목표를 둔 교육활동이다. 넷째, 고전시가는 학습자가 느끼는 과정에서 시대적 간격이 미치는 여러 가지 장애요인들 때문에 이에는 충분한 대책이 필요하다.
  임기중 교수는 교과서에 대한 문제제기와 대안을 제시하며 맺음말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①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는 개편 요청에 크게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②교사용 지도서는 학생에게 도움이 잘 안 되고 있다. ③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오자와 오류가 너무 많다. ④개편된 5종의 교과서 중 한두 종을 제외하면 적격한 것으로 보기 어려우므로 믿을 수 있는 교재개발이 시급하다.

  古典詩歌敎育(고전시가교육) 이래도 좋은가
  金東俊(김동준) <동국대>
  끝으로 발표에 나선 김동준 교수는 문학교육에 있어 ‘알게 한다→즐기게 한다’, ‘시킨다→하게 한다’ ‘갖게 한다→느끼게 한다’, ‘기른다→생각하게 한다’ 식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문학교육이나 고전교육이 갖는 몇 가지 과제를 시조문학교육에 적용시켜 문제점을 지적해 나갔다.
  국정교과서에 나타난 문제점
  ①古詩調(고시조)와 현대시조의 시대구분 문제 ②詩調(시조)의 최초 出典(출전)문제 ③歌集名(가집명)문제 ④시조의 의미구조 ⑤시조의 종류 ⑥시조의 基本律格(기본율격) 문제 ⑦장르문제 ⑧작자문제 ⑨語意(어의)의 誤釋(오석) ⑩어휘 誤錯(오착)의 문제점이 있는데 이 가운데 ①⑤⑥⑦은 定論(정론)이 되어 있지 않은 문제이고 ②③④⑧⑨⑩은 교재상의 잘못이다. 고등학교 국정교과서에서 확실히 定論(정론)되지 않은 題材(제재)를 올려놓았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또 그러한 문제에 대해서는 註(주)를 밝혀 놓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김장호 교수는 고전문학의 혼란상이 古典(고전)시가교육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고 보고 그런 면에서 교재 구성에서부터 엄정한 題材(제재)선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