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보다 수개형질 선발이 효과

단백질·비타민 등 풍부
生態的(생태적) 特性(특성), 遺傳力(유전력) 높아

  강낭콩은 種實(종실)에 糖質(당질)이 많고 蛋白質(단백질)도 적지 않으며 若萊(약래)에는 蛋白質(단백질)과 비타민 A,B1,B2,C가 풍부한 豆科作物(두과작물)이다. 國內에서는 널리 栽培(재배)되고 있지 않으나 우리나라도 國民所得(국민소득)이 증가됨에 따라 未熟果(미숙과)와 來用需要(내용수요)가 점차 增加(증가)를 보이고 있어 이 분야의 硏究(연구)가 전혀 없으므로 특히 강낭콩 育種(육종)에 관여되는 기초적 硏究(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여기에 착안하여 國內外(국내외)에서 수집한 1148品種(품종)을 976년 일련의 實驗(실험)을 실시하였다.
  品種群(품종군)에 있어서 遺傳力(유전력)을 調査(조사)한 바 開花日數(개화일수), 開花期間(개화기간), 結實日數(결실일수) 및 生育日數(생육일수)등 生態的(생태적) 특성은 節間長(절간장), 莢幅(협폭) ,莢當粒數(협당입수), 直徑(직경), 莢長(협장) 및 株當取量(주당취량)등 形態的(형태적)특성보다 遺傳力(유전력)이 높아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적고 收量構成要素中(수량구성요소중) 주당 株當莢數(주당협수) 및 50粒中(입중)은 매우 높은 유전력을 보였다.
  收量(수량)에 관계하는 形質(형질)을 보다 정확히 알기 위하여 經路係數(경로계수)를 分析(분석)한 바 株當莢數(주당협수), 株當粒數(주당입수), 50粒中(입중)등은 收量(수량)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株當莢數(주당협수)와 株當粒數(주당입수)는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었다. 莖直徑(경직경)은 收量(수량)에 직접 또는 株當莢數(주당협수)에 간접으로 영향하고, 葉幅(엽폭)은 직접적으로는 크게 영향하지 않으나 株當粒數(주당입수), 株當莢數(주당협수), 莖直徑(경직경) 및 莢長(협장)등의 증가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收量(수량)에 영향함을 알 수 있었다.
  선발의 最終對象形質(최종대상형질)을 株當收量(주당수량)으로 선발지수와 유전적 진전을 算出(산)한바 單一形質(단일형질)에서는 株當莢數(주당협수), 株當粒數(주당입수), 莖直徑(경직경) 그리고 葉幅(엽폭)의 선발이 높고, 單一形質(단일형질)보다 數個形質(수개형질)을 선발대상 形質(형질)로 하여 選拔(선발)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實用選拔(실용선발) 對象形質(대상형질)인 莢直徑(협직경), 莢長(협장), 株當莢數(주당협수) 및 50粒重(입중)의 4個形質(개형질)로 하여 그 指數(지수)를 算出(산출)한바 2個形質(개형질)의 경우 莢直徑(협직경)+株當莢數(주당협수), 莢長(협장) + 株當莢數(주당협수), 3個形質(개형질)의 경우 莢直徑(협직경) + 莢長(협장) + 50粒重(입중), 莢長(협장) + 株當莢數(주당협수) + 50粒重(입중)등의 形質(형질)을 대상으로 하여 Selection Score가 큰 系統(계통)부터 선발해 나가는 것이 時間(시간)과 노력 그리고 선발효과 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믿는다.
  一般調和能力(일반조화능력)과 特定組合能力(특정조합능력)을 檢定(검정)한 바 全形質(전형질)에서 g.c.a.s.c.a 그리고 反復(반복)에 高度(고도)의 有意性(유의성)을 인정할 수 있었고, 또한 全形質(전형질)이 s.c.a 값보다 g.c.a 값이 높았다.
  組合能力(조합능력)의 효과를 項目別(항목별)로 보면 평균효과는 莢長(협장)이 가장 높으며, 莢當粒數(협당입수)가 가장 낮았고, 일반조합 능력의 경우는 Romano가 收量形質(수량형질)에서 가장 높고, Tende dest가 낮았으며, 品種別(품종별) 各形質效果(각형질효과)는 Cornell 49-242에서 間花日數(간화일수) 및 기간, 葉幅(엽폭), 株當粒數(주당입수)의 4個形質(개형질)이, Romano에서는 개화 및 生育(생육)일수, 株當粒重(주당입중)의 3個形質(개형질), 흑산도 在來種(재래종)과 Tende best 에서는 현장, Sure cropstringless wax에서는 結實日數(결실일수), Rich green에서는 挾藏(협장), 株當粒數(주당입수)그리고 粒重(입중)의 3개 형질에 있어서 일반조합능력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 있고, 交雜(교잡) F1의 特定組合能力(특정조합능력)의 효과는 株當收量(주당수량)의 경우 BxC, DxF, ExF, AxB 순위이며, 株當莢數(주당협수)는 Dxf, AxB, ExF, BxC, 莢長(협장)은 BxC, DxF, ExF, AxB 開花日數(개화일수)는 AxB, DxF, ExF, BxC등이 特定組合(특정조합) 능력이 높았다.
  遺傳子(유전자)의 분포상태는 개화일수, 개화시간, 경직경, 협장, 그리고 50粒重(입중)의 5個形質(개형질)은 관여하는 遺傳子(유전자)가 部分優性(부분우성)이고, 株當莢數(주당협수)와 株當粒數(주당입수)는 대체로 部分優性(부분우성)의 경향을 보이나 遺傳子(유전자)의 분포상태가 일정하지 아니하였고, 結實日數(결실일수), 生育日數(생육일수), 節間長(절간장), 葉幅(엽폭)그리고 株當粒數(주당입수)의 5個形質(개형질)은 超優性(초우성) 遺傳子(유전자)가 관여하는 경우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株當收量(주당수량)은 超優性(초우성)의 경향을 보이나 각 품종이 回歸直線(회귀직선)의 上下(상하)에 散在(산재)되어 遺傳子內(유전자내)의 상호작용의 추정됨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品種別(품종별) 경향은 형질에 따라서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아니하였다.
  遺傳子(유전자)의 優性程道(우성정도) H1/ D은 개화일수, 결실일수, 협장에서 相加的(상가적) 作用(작용)이 큰 部分優性(부분우성)으로 나타나고, 그 外(외)의 모든 形質(형질)은 優性部分(우성부분)이 큰 超優性(초우성)을 보였다.
  優劣性(우열성) 對立遺傳子(대립유전자)의 相對頻度(상대빈도) F는 개화일수, 개화기간, 생육일수 및 莢長(협장)등에서 優性對立(우성대립) 遺傳子(유전자) 보다 劣性對立(열성대립) 遺傳子(유전자)의 영향이 크고 그 외의 9個形質(개형질)은 優性對立(우성대립) 遺傳子(유전자)의 작용이 더 크다. 母體品種(모체품종)의 遺傳子比(유전자비) Kd/Kr는 莢長(협장)과 50粒重(입중)이 優性(우성)과 劣性(열성) 遺傳子(유전자)가 거의 같은 수로 作用(작용)하고, 기타의 形質(형질)은 優性遺傳子(우성유전자)가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優性(우성)의 方向(방향) F-P値(치)는 結實日數(결실일수), 節間長(절간장), 挾藏(협장), 莢當粒數(협당입수)등 4個形質(개형질)에서 負(부)의 값을 보이고 그 外(외)의 9個形質(개형질)은 正(정)의 값을 보였다. 그리고 遺傳力(유전력)은 全形質(전형질)에서 廣義(광의)의 遺傳力(유전력)보다 狹義(협의)의 遺傳力(유전력)이 낮았고, 그중 4개의 生能力(생능력) 特性(특성)과 挾藏(협장), 50粒重(입중)은 높은 遺傳力(유전력)을 보이는 반면에 莢當粒數(협당입수), 節間長(절간장), 葉幅(엽폭) 等(등)은 낮았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