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지대납부를 둘러싸고 학교측과 교지편집위원회‘東國’(편집장=김희영ㆍ국제통상3)이 갈등을 빚고 있다. 올해 1학기와 2학기, 학생회비와 함께 납부하던 교지대가 등록금 고지서에서 제외된 것이다. 이에 대해 교지편집위원회 측은 학교가 사전의 어떠한 합의도 없이 교지대를 일방적으로 제외시켰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학교 측은 교지가 각 단과대 건물에 배포대 없이 건물 곳곳에 방치되어 교지배부가 원활하지 않다고 판단, 2005년 교지편집위측에 교지대를 낸 학생에게 교지를 우편 발송하도록 요청했다. 이어서 올해 언론으로서 교지의 기능 약화와 교지가 배포방식의 개선 방안을 보이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1학기 등록금 고지서에서 교지대를 제외시켰다.

학생 서비스팀 김해덕 팀원은 “이전부터 각 단과대 건물별로 교지가 제대로 관리 되지 않아 재무회계팀과 학생 서비스팀에 민원이 발생됐다”며 “교지대를 낸 학생들에게 교지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이같은 민원에 대한 교지편집위측의 해결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지난 학기부터 교지대를 등록금 고지서 신청에서 제외시켰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교지편집위측은 한정된 예산내에서 학생들에게 교지를 우편발송 할 경우 추가 예산 지원없이 이 비용을 부담하기엔 무리라고 밝혔다. 김희영 교지편집위원회 편집장은 “우편발송의 대안으로 교지대를 낸 학생들에게 직접 전달하는 방법을 계획으로 제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교지편집위원회는 1986년 임시기구에서 독자적인 언론기구로 바뀌면서 편집위원회, 총학생회, 학교 당국의 참여로 이루어진 학생대표자 회의를 통해 학생회비와는 별도로 교지대를 수납하는 방식으로 결정돼 운영되기 시작했다.

공식적인 절차에 따라 납부가 이뤄진 사항에 대해 교지편집위와의 논의없이 학교 측의 일방적 통지로 교지대를 제외한 것은 학내자치언론을 위축시키는 조치로 밖에 볼 수 없다. 더구나 한 학기 2500원에 불과한 교지대를 강제로 제외시켜 버린 것은 성급한 행정조치로 보인다. 학교는 학생을 배려하는 대승적인 차원에서 교지편집위측과 대화의 자리를 통해 교지대 납부 여부를 결정해야 했다.

교지편집위원회 역시 자치 언론으로서 대중들에게 다가가려는 자기 반성과 함께 학교 당국에 대한 투쟁보다는 대화로써 문제를 풀려는 유연한 자세가 필요하다.

이대로 고지서에서 교지대를 계속 제외시킨다면 이십년이 넘는 전통을 가진 교지편집위원회의 교지 발간이 중단될 위험에 처한다.

학교와 교지편집위원회 서로가 역사와 전통을 존중하면서 대화를 통해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해 나가길 바란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