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基白(이기백)著(저)

  일제에 의하여 왜곡된 民族史(민족사)를 바로잡아 한국사를 체계화하기 위한 한국사학계의 꾸준한 작업이 최근 그 연구의 폭과 시야가 넓혀져 가고 있음은 매우 기꺼운 현상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마치 유행어처럼 범람하고 있는 植民地史觀(식민지사관)의 극복이라는 과제가 그 주장같이 그렇게 손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결코 아니다. 여기에 한국사 전 분야에 걸친 개별적인 사실의 규명과 함께 한국사를 조망하는 이론이 요청되는 소이가 있다.
  李基白(이기백)교수의 “民族(민족)과 歷史(역사)”는 후자의 경우에 속하는 것으로 저자가 서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역사적 존재로서의 한국민족을 이해함으로써 한국의 사회와 문화를 인식하는 올바른 길’이라고 믿는데서 출발한 즉 민족을 역사적 관점에서 다룬 史論集(사론집)이다. 한국사에 대한 사론집은 기왕의 丹齋(단재), 湖岩(호암) 등 詩先學(시선학)을 비롯하여 많은 한국사학자들이 시도한 바 있지만 주제를 민족에 두고 한국사학 전반에 걸친 본격적인 史論集(사론집)이 저서로서 간행된 것은 이번이 嚆矢(효시)가 아닐까 생각된다.
  丹齋(단재)史學(사학)이 제기한 민족사관의 문제는 李基白(이기백)교수에 이르러 더욱 근대적으로 深化(심화)되고 체계화되어 주체적인 民族史觀(민족사관)의 정립에 큰 초석이 되었다 하여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물론 이와 비슷한 예는 해방직후 孫晋泰(손진태), 李仁榮(이인영) 제씨에 의하여 시도된 적이 있으나, 결국 문제의 제기에만 그쳤지 이론적 성과로서 정리된 바는 없었다.
  李基白(이기백)교수의 ‘민족과 역사’는 한국 근대사학사로부터 민족성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한국사 연구의 기본적인 문제들을 광범하게 제시, 검토하고 있는데, 아래에서 우리는 그 내용의 一斑(일반)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 1부 ‘韓國史學(한국사학)의 과제’에서는 한국사의 시대구분 문제, 주체적 한국사관등을 다루고 있는데, 한국사에 있어서 焦眉(초미)의 문제로 되어있는 문제점을 비교적 자세히 논급하고 있다.
  특히 민족의 發展(발전)을 통하여 民族史(민족사)의 主體性(주체성)을 이해하는데 힘썼다. 第(제) 2部(부) ‘한국史學(사학)의 반성’은 종래의 식민주의적 한국사관의 비판과 극복을 위하여 노력한 論文(논문)이다.
  日帝(일제) 植民地史觀(식민지사관)에 의하여 歪曲(왜곡)왼 地理的(지리적) 他律性(타율성)의 문제, 事大主義(사대주의) 문제 文化的(문화적) 獨創性(독창성)의 문제 등이 著書(저서)에서 가장 力點(역점)을 두고 論議(논의)하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나아가 民族主義史學(민족주의사학)의 問題(문제)에서는 丹齋(단재), 六堂(육당)을 중심으로 丹齋(단재)의 民族史觀(민족사관), 六堂(육당)의 韓國史觀(한국사관)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여기서 著者(저자)는 民族主義史學(민족주의사학)이 지니는 문제점을 역사적인 발전에 대한 槪念(개념)의 결여에서 찾고 있는 것 등은 卓見(탁견)임에는 틀림없으나, 좀 아쉬운 것은 六堂(육당)의 경우를 너무 긍정적인 立場(입장)에서 보려는 先入見(선입견) 때문에 그의 史觀(사관)이 마치 民族史觀(민족사관)의 主流(주류)인 것처럼 인식케 한 것은 再考(재고)의 여지가 있을 것 같다. 다음 第(제) 4部(부)의 民族性論(민족성론)은 1920年代(년대)를 중심으로 전개된 民族性(민족성)의 長短點(장단점)論議(논의)와 春園(춘원)의 民族(민족)改造論(개조론)의 비판에 주안점을 둔 論文(논문)이다. 이중 春園(춘원)의 民族(민족)改造論(개조론)은 현재도 긍정적 立場(입장)에서 보는 이도 있지만 著者(저자)의 見解(견해)는 타당성을 띤 것으로 받아들여도 좋을 것 같다. 民族性(민족성)의 優劣(우열)論議(논의)자체가 일제의 植民地的(식민지적) 支配(지배)를 合理化(합리화)시키기 위한 理論(이론)으로 대두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本書(본서)에는 ‘民族文化論(민족문화론)’ ‘事大主義論(사대주의론)’ ‘民族(민족)의 對外(대외)抗爭(항쟁)’ 등 주목할 만한 論文(논문)이 실려 있다.
  대체로 本書(본서)는 植民地史觀(식민지사관)을 극복하려는 참신한 民族主義史觀(민족주의사관)을 강조하고 전개시킨 勞作(노작)으로 높이 評價(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添言(첨언)해 둘 것은 저자의 참신한 의도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각 문제에 걸쳐 너무 觀念的(관념적)인 경향에 치우쳐 구체적인 사실의 지적이 소홀하였다는 것과, 문제의 제기에만 그치고 만 것 같은 論文(논문)도 눈에 띄는 것은 좀 아쉬운 점이라 하겠다.
<一潮閣(일조각)刊(간)․1971年(년) 初版(초판)>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