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통치에 활용된 일제의 종교정책 첫 논의

지난 8월 27일(금)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종교계의 대응’이란 주제로 문화학술원 일본학연구소가 주최한 국제학술심포지엄이 열렸다. 한·일 양국에서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을 연구한 6명이 주제발표자로 참석했다.

먼저 국민대 류미나 교수는 조선총독부가 1911년 6월 15일에 성균관에 설립한 경학원의 활동에 주목하면서, “경학원이 1920년대에는 제2의 3·1독립운동이 발발하지 않도록 조선인 교화를 추동(推動)하는 기구로 자리 잡아갔다”고 주장했다.

한국국학진흥연구원 유교문화박물관 김순석 관장은 “일제는 본산(本寺) 주지들을 임명해 친일을 꾀했다”고 말했다. 김순석 관장은 “결국 일제가 실시한 식민지 불교정책은 조선왕조가 500백년 동안 실시하였던 억불정책보다도 심하게 불교계를 망가뜨렸다”고 주장했다.

이진구 호남신학대 교수는 신사참배를 둘러싼 조선총독부와 개신교의 갈등은 미션스쿨의 폐교를 초래했으며, 개신교 내부의 갈등은 해방이후 교회의 분열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가와세 다카야 교토부립대 교수는 ‘조선사 편찬사업(1922-38)’에서 일본 측이 단군을 신화적 인물로 간주하는 데에 대해 최남선 등 조선 지식인들은 단군을 역사적인 인물로 보며 논쟁 벌였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들은 1930년대 ‘심전개발운동’ 정책에 동원되어 ‘일선동조론’을 추인하고 선전했다. 조선 지식인들의 저항과 협력 양상(樣相)은 식민지에서만 나타나는 ‘양면성’이라고 파악했다.

스가 고지 고쿠가쿠인대 교수는 조선신궁에서 모셨던 일본의 황조신인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에게 다민족 제국통합의 시원이라는 성격이 새롭게 부여되었다고 말했다. 또한 조선에서는 대중을 동원하기 위해 종교와는 무관한 세속적인 성격도 띠는 등 모순된 숭배 대상이었다고 주장했다.

모모야마가쿠인대 아오노 마사아키 교수는 ‘심전개발운동’에는 ‘경신숭조(敬神崇祖)’의 신사신앙과 ‘종교부흥’을 통한 조선인의 신앙심 향상이라는 ‘이중구조’의 성격이 내재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사종교(類似宗敎)’는 ‘미신’으로 치부되어 국체관념에 위험시되는 대상으로서 탄압받았다고 주장했다.

올해는 일제강제병합 100년을 맞는 해이지만 식민지배 상황에서 각 종교계가 놓인 처지가 한 자리에서 논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선총독부가 조선인의 교화에 종교를 적극적으로 활용(活用)했음이 이번 심포지엄에서 드러났다. 그러나 토론에 나선 한국교회사연구소의 조현범 연구원이 지적하듯이 종교계의 “근대와 식민의 중첩 경험”이 구체적으로 조명(照明)되지 못했다. 앞으로 종교계의 식민 경험을 어떻게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친일’과 ‘반일’의 차원을 넘는 논의로 이끌 것인가라는 과제도 남겼다.

저작권자 ©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